성공한 삶이 행복한 것이 아니라, 행복한 삶이 성공한 것이다
양말 때문에 싸운다. 교통사고 사망율과 더불어 우리나라 불명예 순위 1위인 이혼율 증가의 커다란 원인 중 하나는 뒤집힌 양말이다. 사실이다. ’방 한가운데 놓인 남편의 뒤집어진 양말을 보는 순간 난생처음 살의를 느꼈다’는 얘기를 들은 적도 있다. 올려진 변기커버도 한 몫을 한다. 나 역시 새벽에 울려 퍼진 아내의 비명 소리에 꽃병을 들고 일어선 적이 있었다. 원인은 침입자가 아닌 내가 올려 놓은 변기커버 때문이었다. 신새벽 돌연 변기에 빠졌던 아내의 불타던 눈동자를 아직도 잊을 수 없다.
이 상투적인 갈등요소들이 어째서 그처럼 커다란 분쟁을 일으키는 것일까? 나아가 이혼과 같은 최악의 결과를 가져 오는 것일까? 만일 맨발로 다닐 경우 이혼율은 줄어들게 되는 것일까? 변기커버가 없는 재래식 화장실로 개조하면 문제가 사라질 것인가? 천만에 가운데를 쥐어짠 치약이 다시 순위로 올라올 것이며, 입을 대고 먹는 생수병이 그 뒤를 잇게 될 것이다. 왜일까?
이런 사소한 갈등이 분쟁으로 치닫는 이유는 동일한 일들이 평생 반복될 것에 대한 두려움 때문이다. 한 번 정도야 ’이런 털털한 남성, 하는 행동마다 수컷이라니까’ 넘어 갈 수 있겠지만 이것이 평생 반복된다고 생각한다면 얘기는 끔찍해진다. 이를테면 ’머리는 이발 하려고 달고 다니는 것인가?’ 라는 의문이 들게 되고 온 방안이 벗어 놓은 양말로 가득한 착각에 빠지게 된다. 이윽고 뒤집힌 양말과 더불어 백년의 서약도 뒤집히게 된다. 사발면이 등장한 이후로 그 시간은 점점 더 짧아지고 있다.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
결혼 초기의 싸움은 생장배경이 다른 두 인격체의 자연스러운 적응과정이다. 이는 불가피함을 넘어 반드시 필요한 과정으로, 이때 형성된 항체를 가지고 여생의 갈등들을 극복해 나간다. 다시 말해 필요하다면 반드시 싸워야 한다. 문제는 그 방법이다. 워싱턴대학의 심리학자 존 고트먼 교수가 재미있는 실험을 했다.
교수는 두 개의 사무용 의자에 부부를 앉히고 손가락과 귀에 전극과 센서를 부착했다. 그리고 어떤 주제라도 좋으니 결혼 후 다툼거리가 되었던 문제에 대해 의견을 교환하라는 지시를 내렸다. 놀라운 것은 녹화한 15분 동안의 대화내용으로 이 부부의 결혼생활이 15년 이상 지속될지 아닐지를 90%의 정확도로 판단해낸다는 것이었다. 나중엔 그 시간이 3분으로 줄었다. 비결이 뭘까?
’경멸’의 징후들을 발견해내는 것이었다. 이것이 부부의 대화도중 양쪽에서 빈번하게 일어날 때 결혼은 끝장을 향해 치닫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라는 것이다. 실제로 사소한 부부싸움을 핵전쟁으로 유도할 수 있는 좋은 기폭제는 바로 상대방의 유전적 요소를 비아냥거리는 방법이다. " 당신 집안 사람들은 어떻게 다 똑같아?" 누군가 이 얘기를 꺼냈다면 그 배우자는 더이상 이성을 지닌 지성인이 아니다.
정확히 반대의 케이스를 TV에서 본 적이 있다. 한 프로그램에서 부부의 양해를 얻어 고트먼교수와 동일한 실험을 했다. 30년 이상 결혼 생활을 지속한 한 부부가 나와서 싸웠다. 개밥은 챙겨 주면서 자기 끼니는 모른 척 할 수 있느냐는 아저씨의 푸념이었다. 언성도 높고 서로 화가 많이 나있었음에도 불구하고 놀라운 것은 싸움의 전개과정이었다. 부부는 마치 소리를 높여 문제를 풀어 가는 듯 했다. 남편의 투정엔 해법이 들어 있었고, 부인의 응수엔 사과가 들어 있었다. 두 분의 표정 어디에서도 경멸을 찾아 볼 수는 없었다.
이번 CM에서 보여 주고자 했던 아름다운 부부의 모습이 바로 그것이었다. 이 분들에게 배우자의 실수는 비난이 아니라 배려의 대상이 된다. 뒤집힌 양말은 ’야구 좀 보자’는 가로채기로부터 채널권을 지켜 내는 방어 수단 정도이다. 다름을 다름으로 인정하고 부족함을 너그러움으로 채워주면 살아 온 세월이 삶의 수고스러움을 번번이 이겨 낼 마르지 않는 피로회복제가 된 것이다.
네 잎 클로버의 꽃말은 ’행운’이고 세 잎 클로버의 꽃말은 ’행복’이다. 행운만 찾다가는 평범한 행복을 짓밟으며 살게 된다는 것이 그교훈이다. 그런 의미에서 우리 모두는 똑같은 행복의 조건을 지니고 있다. 다만 그 행복을 수 많은 뒤집힌 양말들로부터 어떻게 지켜 낼 것인가 하는 것이 관건이다. 행복하게 지혜롭게 싸우자. 부족함은 넉넉함으로 어려움은 지혜로 채우며 살자. 성공한 삶이 행복한 것이 아니라 행복한 삶이 성공한 것이다. 오래된 두 연인이 그 사실을 증명하고 계시다.
(글:TBWA 코리아 박승욱CD /편집 및 정리: 광고정보센터 임금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