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5년 1월] MEDIA AD ISSUE
- 2024 메조미디어 트렌드 리포트
- [2025년 1월] MEDIA & MARKET ISSUE
- [플레이디] 2025 광고·마케팅 트렌드 전망 리포트
- [플레이디]2024 반려동물 업종 트렌드 리포트
- 2022년 숏폼 콘텐츠 마케팅 리포트
- [인크로스]2025년 1월 미디어 이슈 리포트
- [2023년 11월] 2024 디지털 미디어 & 마케팅 전망
- [플레이디] [손해보험] 시장 변화에 기회 삼아 미래를 준비하는 손해보험사들의 생존 경쟁 시작
- [플레이디] [뉴시니어] 나이가 들어도 '우아함'과 '품위' 잃지 않는 뉴시니어 (New Senior)
자료요약
본 연구는 한국과 일본의 도시 로고를 대상으로 그 차이를 알아본 것이다. 한국과 일본의 로고 표현의 차이는 두 나라 사이의 문화적인 차이도 영향을 미치고 미학적인 차원이나 산업적인 특성을 반영하기도 한다. 구체적으로 보면 한국의 도시 브랜드 로고가 일본보다 더 많은 컬러를 사용하고 있었다. 색채를 중심으로 보면 한국은 주로 원색을 사용하고 있었으나 일본은 한국보다 무채색의 사용 빈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메인 컬러의 경우도 두 나라 모두 파란색을 가장 많이 사용하였지만 제한적이기는 하지만 한국이 빈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로고의 모양에 있어서는 일본이 한국보다 상하좌우 대칭적인 디자인을 더 많이 사용하고 있었다. 워드마크도 한국이 더 많이 사용하고 있었다. 전통 문양의 사용 여부는 두 나라 사이에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두 나라의 문화 차이에 대한 학문적인 시사점과 아시아를 세분 시장으로 하는 브랜딩 차원에서 실무적인 시사점도 제공하고 있다.
This study explores differences of city logo from Korea and Japan. It is hypothesized that cultural differences and esthetic or industrial characteristics could influence expression of visual identity. The findings showed that Korean logos used more numbers of color than Japanese logos. It is also found that Korea used original color, and Japan used achromatic color. For main color, both countries used blue color most frequently, but Korea used more blue color than Japan at the limited level. For the shapes of logos, Japan used more symmetric design than Korea. Korea used more word mark design than Japan. Uses of traditional pattern are not statistically different. These results could provide academic implications of cultural differences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brand strategy regarding Asian market segmentations.
This study explores differences of city logo from Korea and Japan. It is hypothesized that cultural differences and esthetic or industrial characteristics could influence expression of visual identity. The findings showed that Korean logos used more numbers of color than Japanese logos. It is also found that Korea used original color, and Japan used achromatic color. For main color, both countries used blue color most frequently, but Korea used more blue color than Japan at the limited level. For the shapes of logos, Japan used more symmetric design than Korea. Korea used more word mark design than Japan. Uses of traditional pattern are not statistically different. These results could provide academic implications of cultural differences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brand strategy regarding Asian market segmentations.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방법론
4. 결과
5. 논의 및 결론
2. 이론적 배경
3. 방법론
4. 결과
5. 논의 및 결론
도시 브랜드
로고
문화 차이
일본 문화
City Brand
Logs
Cultural Differences
Japanese Cul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