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트업에서 일하기: 스타트업에서의 통제 메커니즘으로서 시간 개념 고찰
경영학연구 |
한국경영학회 |
32 pages|
2025.01.22|
파일형태 :
자료요약
본 연구에서는 시간의 개념에서 파생되어 제기되는 여러 가지 의문들을 통제 메커니즘의 측면에서 재구성하고자 한다. 대기업이든 스타트업이든 모두 시간의 개념을 기반으로 한 관리기법을 고안한다는 점에서 공통적이지만, 시간을 어떤 통제 메커니즘을 통해서 배태시키고 있는지에서 두 기업의 형태가 구분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스타트업에 종사하고 있는 23명의 구성원들의 심층 면접조사를 통하여 스타트업에서 시간이 기업의 통제 메커니즘에 어떻게 결부되어 있는지 구체화하고자 한다. 특히, 통제 메커니즘이 공식적인 통제 기법과 비공식적인 통제 기법으로 구현된다고 보고, 이 두 가지 통제기법들이 실질적으로 스타트업의 목적에 맞도록 구성되어 있는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극작술적 접근법에 기반하여 스타트업 구성원들이 자신의 직장(스타트업)과 이를 둘러싼 통제 메커니즘을 어떻게 이해하고 대응하는지를 분석한 결과, 스타트업에서는 공식적 통제와 비공식적 통제를 뛰어넘는 또다른 형태의 영향력이 존재하는데, 이는 조직에 배태되어 있는 시간이 아닌 구성원 자신의 커리어에 배태되어 있는 시간에 있음을 강조한다. 다시 말해서 스타트업에서의 통제 메커니즘은 전통적인 양식이 아닌 개인의 성장 욕구에 기인한 것으로, 스타트업 종사자는 조직의 성장과 개인 커리어 성공을 연동시키고, 내재적 동기를 더욱 증폭시킬 수 있는 다양한 문화적 장치를 마련함으로써, 구성원들은 자기주도적인 업무를 가치있게 보고 그것이 긍정적인 통제 메커니즘으로 강화될 수 있다. 그리하여 스타트업의 근무 시간은 구성원들의 성장의 욕구를 통해서 보다 ‘효율적으로’ 재구성된다.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론
Ⅳ. 스타트업에서 일하기: 극작술적 재구성
Ⅴ. 토론
Ⅵ. 결론
참고문헌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론
Ⅳ. 스타트업에서 일하기: 극작술적 재구성
Ⅴ. 토론
Ⅵ. 결론
참고문헌
#스타트업#시간#통제 메커니즘#성장 욕구#극작술법#Startups#Time#Control Mechanism#Desire for Growth#Dramaturgical Approach
저작권 안내 및 사용범위와 규정
-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 배포는 법적으로 "금지되어" 있습니다.
- 저작권 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하단의 “고객센터”를 이용해주세요.
- 기타는 저작물의 등록자가 정하는 사용 범위와 규정에 준합니다.
- 위 자료는 가 저작권을 관리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