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경제적 불평등 사회에서 한국 언론학 연구의 경향
한국언론학회 | 한국언론학회 | 55 pages| 2021.02.09| 파일형태 :
조회 1761 다운로드 0
자료요약
이 논문은 우리나라의 언론학 연구의 빈곤에 대한 인식과 개념의 관념성을 비판하고 학술적 실천을 탐색하기 위하여 첫째, 한국 사회에서의 빈곤과 불평등의 양상과 특성을 파악하고 둘째, 경제적 불평등에 처한 개인과 공동체의 커뮤니케이션 환경의 실제 사례들을 살펴보고, 셋째, 언론학이 분석하고 이해하는 빈곤의 정치커뮤니케이션 과정과 목표의 문제들 및 연구 방식의 한계를 논의하며, 마지막으로 이를 바탕으로 빈곤과 불평등의 커뮤니케이션 환경과 실천을 극복하기 위한 연구와 논의를 위해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할 것인지에 대해 논의하였다. 연구 결과, 우선, 한국 언론학은 사회 및 경제학이 상대적으로 소홀히 다루어온 미디어, 참여, 그리고 커뮤니케이션 결핍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을 진행해 오고 있었다. 이는 빈곤과 불평등에 대한 사회정치적 그리고 문화적 의미를 확장시켜주고 있다는 의의를 가지고 있으나 뚜렷한 한계 역시 보여주고 있다. 분석에 의하면 한국 언론학은 빈곤과 불평등에 대한 네 가지 유형화 중에서 〈Type III〉 “관념적 유형”에 다수의 연구가 분포되어 있어 보인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언론학의 방향성에 대해 논의하고자 하였다.

This study is conducted in order to criticique about the ways Journalism studies conceive deprivation and to problematize the abstractness about inequality through which to explore alternative academic practices. To meet this research purpose, first, we try to understand the patterns and characteristics of poverty and inequality in Korea, and second, to identify concrete examples to discuss actual realities of communication environment of derived individuals and communities, and third, to discusses the limitations of the Journalism studies, and finally, based on this, we intend to discuss the future agendas of Journalism studies in Korea on this matter. Based on the analysis, we found that Korean journalism studies have been broadly established and expanded into a systematic research area by discovering the meaning and impact of communication elements and activities that the existing socio-economic poverty and inequality studies have not captured and theorized. This has significance that it expands the socio-political and cultural significance of poverty and inequality, but it also shows clear limitations. According to the analysis, Korean journalism seems to have distributed a number of studies in 〈Type III〉 “Ambiguous ideological type” among the four types of poverty and insecurity. Based on these findings, I tried to discuss the future direction of journalism.
목차
1. 서론
2. 한국 사회의 경제적 불평등의 특성
3. 경제적 불평등과 커뮤니케이션 환경
4. 언론학의 불평등 문제에 대한 네가지 접근 방식
5. 불평등 사회에서의 언론학 연구 경향
6. 결론 및 토의
참고문헌
Abstract
#언론학 #정치커뮤니케이션 #빈곤 #불평등 #커뮤니케이션 불평등 #숙의민주주의 #Journalism #Political Communication #Poverty #Inequality #Communication inequality #Deliberative democracy
저작권 안내 및 사용범위와 규정
  •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 배포는 법적으로 "금지되어" 있습니다.
  • 저작권 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하단의 “고객센터”를 이용해주세요.
  • 기타는 저작물의 등록자가 정하는 사용 범위와 규정에 준합니다.
  • 위 자료는 한국언론학회 가 저작권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자료 제공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