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5년 7월] 2025 상반기 디지털 미디어 & 마케팅 결산
- 2025년 8월 매체력 평가 리포트
- 2025년 2분기 인터넷 노출형광고 결산보고
- 2025 메조미디어 트렌드 리포트
- 미디어&마켓 리포트_25년 8월
- [나스미디어]2024년 11월 2025 디지털 미디어 & 마케팅 전망
- [Case Study] Internet_쌤소나이트_하이시에라 런칭 캠페인/일동제약_비오비타 아기모델 선발 캠페인
- [2025년 5월] MEDIA & MARKET ISSUE
- 2024 메조미디어 트렌드 리포트
- [플레이디] 2025 광고·마케팅 트렌드 전망 리포트
AR 가상피팅 디지털사이니지가 쇼퍼에게 미치는 영향 : 여성복 패션 매장에서 VMD 연출 기법과 제품 유형에 따른 광고 효과를 중심으로
자료요약
본 연구는 여성복 패션 매장에 설치된 증강현실(AR) 가상피팅 디지털사이니지의 광고 효과를 실험 연구를 통해 검증했다. 구체적으로, 총 174명 여성 피험자를 대상으로 진행된 온라인 실험을 통해 디지털사이니지 VMD 연출 기법과 광고된 제품의 유형에 따른 광고 효과를 비교 측정했다. 연구 결과, VMD 연출 기법과 제품 유형 모두 제품 태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제품 유형은 공유 의도에까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출 기법과 제품유형 간 상호작용 효과는 발견할 수 없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최근 매장에서 마케팅 채널로 활용도가 커지고 있는 AR 가상피팅 디지털사이니지에 대한 이론적 토대를 제공했다는 데 학술적 의미가 크다. 또한, 본 연구는 구매 접점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전략 구축에 있어서 매장 마케터들에게 실무적인 지침을 제공해 준다.
This study aims to verify the advertising effectiveness of a virtual fitting digital signage in a female fashion retail store through a series of experiments. Specifically, the study conducted on-line experiments with 174 female participants and examined the main effect and interaction effect of the advertising outcome including product attitude, purchase intention, and intention to share online depending on the digital signage VMD’s display composition such as VP and PP as well as the advertised product type such as practical and hedonic product. The results of the present research showed that both display composition and product type affected the brand attitude While the product type influenced the intention to share, there was no interaction effect found between the display composition and product type. The research suggested the theoretical foundation for using a digital signage virtual fitting and provided strategic guidelines to retail store owners.
This study aims to verify the advertising effectiveness of a virtual fitting digital signage in a female fashion retail store through a series of experiments. Specifically, the study conducted on-line experiments with 174 female participants and examined the main effect and interaction effect of the advertising outcome including product attitude, purchase intention, and intention to share online depending on the digital signage VMD’s display composition such as VP and PP as well as the advertised product type such as practical and hedonic product. The results of the present research showed that both display composition and product type affected the brand attitude While the product type influenced the intention to share, there was no interaction effect found between the display composition and product type. The research suggested the theoretical foundation for using a digital signage virtual fitting and provided strategic guidelines to retail store owners.
목차
1. 서론
2. 문헌 연구
3. 연구문제
4. 연구 기법
5. 연구 결과
6. 결론 및 논의
2. 문헌 연구
3. 연구문제
4. 연구 기법
5. 연구 결과
6. 결론 및 논의
#디지털사이니지 #가상피팅 #증강현실 #매장 마케팅 #구매 접점광고 #쇼퍼 마케팅 #VMD 연출 #In-store marketing #Augmented Reality #Digital signage #Virtual fitting #VM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