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디어&마켓 리포트_25년 8월
- [나스미디어]2024년 11월 2025 디지털 미디어 & 마케팅 전망
- 2022 주류 소비 트렌드 리포트
- 2024년 6월 미디어 이슈 리포트
- [인크로스]2025년 1월 미디어 이슈 리포트
- 기아차 SOUL의 혁신적인 제품전략 -소비자의 soul을 움직이다-
- [2025년 7월] 2025 상반기 디지털 미디어 & 마케팅 결산
- [플레이디] 2025 광고·마케팅 트렌드 전망 리포트
- [메조미디어] 2024 업종 분석 리포트 02. 화장품
- [나스미디어] 2024년 11월 Meta 협력광고, 이커머스 시장의 게임 체인저
자료요약
이 연구는 푸코의 통치성 연구의 관점에서 스타트업 담론을 시장 자유주의 통치성의 계보학 위에 있는 정보통치성으로 이해한다. 정보통치성은 새로운 시장 자유주의적 주체와 수행, 시장과 사회를 담론을 통해 구성한다. 구체적으로 정보통치성은 스타트업 담론을 통해 주체는 스타트업으로, 사회는 한계비용 제로 사회로, 시장은 파괴적 혁신 시장으로 구성한다. 스타트업의 수행은 크게 창업, 개발, 성장, 혁신의 단계로 이뤄진다. 이 연구에서는 정보통치성이 적용된 실제 사례로서 2017년 미국 산호세에서 열린 페이스북 개발자 컨퍼런스 F8 2017의 키노트 스피치를 분석할 것이다. 페이스북은 공동체를 코딩 가능한 형태인 연결성으로 정의하고, 이를 구성하는 지식을 인공지능으로, 구성된 현실을 가상현실/증강현실로 개념화한다. 이에 따라 연결성은 통신망을 파괴적 혁신하는 아퀼라와 입력 장치를 파괴적 혁신하는 뇌파 인터페이스로, 인공지능은 누구나 쉽게 개발할 수 있는 개발 언어인 카페2와 어디에서나 쓸 수 있는 모바일 AI로, VR/AR은 페이스북 스페이스와 글래스로 구현된다. 정보통치성은 산업통치성과 금융통치성에 이어, 세계를 구성하는 새로운 원리로 제시되는 한편 시장 자유주의 통치성에서 사회자유주의 통치성으로의 길을 열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understands the startup discourse from the viewpoint of Foucault "s governmentality studies as an Informational governmentality on the genealogy of market liberal government. Informational governmentality is presented as a new principle that reconstrcuts the world, following industrial governmentality and financial governmentality. Informational governmentality construct a new market liberalist subject, performance, market and society through discourse. Specifically, informational governmentality consists of subject as startups, society as marginal cost society, and market as disruptively innovative market. The startups" performances are largely made up of stages of founding, development, growth and innovation. The study will analyze Mark Zuckerberg"s keynote speech at the F8 2017, Facebook Developers Conference, in San Jose. Facebook"s goal in keynote speech was "building community" as social innovation on a global scale. This social innovation was based on information technology, not manufacturing or finance. The community was reconfigured as a programmable form of connectivity. The connection between humans was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ing a drone, and the connection between a human and a machine was realized by an interface technique using an electroencephalogram. Knowledge for connectivity was an artificial intelligence that also worked on low-end smartphones. The community formed through artificial intelligence was realized in the form of virtual reality and augmented reality.
This study understands the startup discourse from the viewpoint of Foucault "s governmentality studies as an Informational governmentality on the genealogy of market liberal government. Informational governmentality is presented as a new principle that reconstrcuts the world, following industrial governmentality and financial governmentality. Informational governmentality construct a new market liberalist subject, performance, market and society through discourse. Specifically, informational governmentality consists of subject as startups, society as marginal cost society, and market as disruptively innovative market. The startups" performances are largely made up of stages of founding, development, growth and innovation. The study will analyze Mark Zuckerberg"s keynote speech at the F8 2017, Facebook Developers Conference, in San Jose. Facebook"s goal in keynote speech was "building community" as social innovation on a global scale. This social innovation was based on information technology, not manufacturing or finance. The community was reconfigured as a programmable form of connectivity. The connection between humans was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ing a drone, and the connection between a human and a machine was realized by an interface technique using an electroencephalogram. Knowledge for connectivity was an artificial intelligence that also worked on low-end smartphones. The community formed through artificial intelligence was realized in the form of virtual reality and augmented reality.
목차
1. 문제제기
2. 통치성에 대한 계보학적 연구
3. 정보통치성에 의한 사회와 시장의 구성
4. 정보통치성에 의한 주체의 구성: 스타트업
5. 사례 분석: 2017년 페이스북 개발자 컨퍼런스
6. 정보통치성의 확장
7. 요약 및 제언
2. 통치성에 대한 계보학적 연구
3. 정보통치성에 의한 사회와 시장의 구성
4. 정보통치성에 의한 주체의 구성: 스타트업
5. 사례 분석: 2017년 페이스북 개발자 컨퍼런스
6. 정보통치성의 확장
7. 요약 및 제언
정보통치성
스타트업
시장 자유주의 통치성
페이스북
통치성 연구
Informational governmentality
startup
market liberalism
Facebook
governmentality studie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