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디어&마켓 리포트_25년 8월
- [나스미디어]2024년 11월 2025 디지털 미디어 & 마케팅 전망
- 2022 주류 소비 트렌드 리포트
- 2024년 6월 미디어 이슈 리포트
- [인크로스]2025년 1월 미디어 이슈 리포트
- 기아차 SOUL의 혁신적인 제품전략 -소비자의 soul을 움직이다-
- [2025년 7월] 2025 상반기 디지털 미디어 & 마케팅 결산
- [플레이디] 2025 광고·마케팅 트렌드 전망 리포트
- [메조미디어] 2024 업종 분석 리포트 02. 화장품
- [나스미디어] 2024년 11월 Meta 협력광고, 이커머스 시장의 게임 체인저
자료요약
이 연구의 목적은 장애인 영상 제작자의 미디어 제작활동과 생애전환점 분석을 통해 미디어의 장애인 재현에 대한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도출하고 소수자-되기 실천의 함의들을 도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이론적 논의에서 프랑스 후기구조주의 사상가인 질 들뢰즈(Gilles Deleuze)와 펠릭스 과타리(F?lix Guattari)의 소수자 이론을 검토한 후 이탈리아의 정치철학자인 조르조 아감벤(Giorgio Agamben)의 ‘호모 사케르(Homo Sacer)’의 사유를 탐색하고자 한다. 이를 토대로 장애인 영상제작자와 인권동호회 영상제작자들을 연구 참여자들로 선정하여 심층인터뷰를 실시하고, 질적 연구방법의 하나인 미디어 비오그라피 연구를 적용해 분석하고자 한다. 이 연구의 의의는 미디어의 장애인 재현과 주체적인 미디어 제작 활동들을 생애사적으로 분석하여 한국 사회의 장애인 미디어 환경을 개선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lucidate the problems of representing the disabled in the media, suggest the improvement and to derive implications of ‘Becoming minority’ practice through analyzing the media production activities by the disabled and the turning point in life of the disabled producers. For that, this study will examine the minority theory of Gilles Deleuze and F?lix Guattari, the late post-structuralist thinkers of France, and explore thought of ‘Homo Sacer’ suggested by Italian political philosopher Giorgio Agamben. Based on this, we will conduct in-depth interviews with selected disabled people who produce video and people who belong to human rights groups for video production. This study apply the media biographical research which is one of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for analyzing result of interview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basic data to improve the media environment of the disabled in Korean society by analyzing the reproduction of the disabled in the media and subjective media production activities by the disabl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lucidate the problems of representing the disabled in the media, suggest the improvement and to derive implications of ‘Becoming minority’ practice through analyzing the media production activities by the disabled and the turning point in life of the disabled producers. For that, this study will examine the minority theory of Gilles Deleuze and F?lix Guattari, the late post-structuralist thinkers of France, and explore thought of ‘Homo Sacer’ suggested by Italian political philosopher Giorgio Agamben. Based on this, we will conduct in-depth interviews with selected disabled people who produce video and people who belong to human rights groups for video production. This study apply the media biographical research which is one of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for analyzing result of interview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basic data to improve the media environment of the disabled in Korean society by analyzing the reproduction of the disabled in the media and subjective media production activities by the disabled.
목차
1. 문제제기와 연구목적
2. 이론적 배경
3. 연구 문제 및 연구 방법
4. 연구결과
5. 나가며
2. 이론적 배경
3. 연구 문제 및 연구 방법
4. 연구결과
5. 나가며
장애인
영상제작
소수자
미디어 비오그라피
Disabled
Video Produc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