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으로서 노인
한국언론학회 | 한국언론학회 | 30 pages| 2019.03.08| 파일형태 :
조회 1638 다운로드 0
자료요약
이 연구는 자발적 시민참여모형을 바탕으로 ‘무엇이 노년층 유권자를 제도적, 비제도적 정치참여로 이끄는지’를 분석했다. 2018년 6?13 지방선거를 앞두고 서울 지역 거주 만 60세 이상 유권자 350명을 대면 조사한 결과, 몇 가지 주목할 만한 연구 결과가 도출됐다. 무엇보다 소득과 교육 수준 등 객관적인 ‘자원’ 요인의 중요성은 낮게 나타난 반면, ‘심리적 동기’가 노년층의 참여적 시민성을 유지하는 데에 더 핵심적인 요인으로 관찰됐다. 특히 스스로의 정치적 효능감에 대한 지각은 모든 유형의 정치참여에서 중요한 동인으로 작용했으며, 노화에 대한 긍정적 인식은 투표 이외 제도적, 비제도적 활동을 포괄한 적극적인 형태의 정치참여를 제고했다. 동원 연결망의 효과는 정치참여 유형별로 상이했으나, 전반적으로 가족이나 다양한 사회연결망의 효과는 뚜렷하지 않았다. 미디어 이용의 효과는 투표 참여와 그 외 정치참여로 대비됐다. 투표 참여에 대해서는 노년층이 정치 정보원으로 가장 의존하는 매체 중 하나인 종편 및 보도전문채널의 영향력이 유의미했으며, 정치적 의견 표명과 공유를 위해 모바일 메신저나 인터넷을 이용한 정도는 적극적인 유형의 정치활동 참여에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As South Korea is aging faster than any other developed country, older adults’ roles as citizens attract more scholarly attention. To explore what factors underlie senior citizens’ institutional and non-institutional political participation based upon the civic voluntarism model, this study conducted a face-to-face interview of a total of 350 senior voters in the 2018 local elections in Seoul. Most notable findings are as follows: resources such as income and educational levels did not appear as a contributing factor to seniors’ participatory citizenship while psychological motivations, especially, internal political efficacy significantly facilitated all kinds of political participation. Self-perceptions of aging also appeared important; positive evaluations of one’s own aging experiences led to more active participation in some conventional and non-conventional political activities. Whereas effects of recruiting networks such as families and various social organizations were not very strong overall, media’s mobilizing effects were found to vary depending on the mode of political participation. The broadcasting media showed a significant impact on voting intention while using mobile and internet channels for sharing political messages helped older adults to get engaged in more active political activities.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논의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결론
노년층 자발적 시민참여모형 제도적 정치참여 비제도적 정치참여 고령사회 Older adults civic voluntarism model institutional and non-institutional political participation the aged society
저작권 안내 및 사용범위와 규정
  •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 배포는 법적으로 "금지되어" 있습니다.
  • 저작권 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하단의 “고객센터”를 이용해주세요.
  • 기타는 저작물의 등록자가 정하는 사용 범위와 규정에 준합니다.
  • 위 자료는 한국언론학회 가 저작권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자료 제공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