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5년 7월] 2025 상반기 디지털 미디어 & 마케팅 결산
- 미디어&마켓 리포트_25년 8월
- 2022 주류 소비 트렌드 리포트
- [플레이디] 2025 광고·마케팅 트렌드 전망 리포트
- 2025 메조미디어 트렌드 리포트
- [나스미디어]2024년 11월 2025 디지털 미디어 & 마케팅 전망
- 2024 메조미디어 트렌드 리포트
- [Case Study] Internet_쌤소나이트_하이시에라 런칭 캠페인/일동제약_비오비타 아기모델 선발 캠페인
- [CJ?메조미디어] OTT 광고 소비자 인식 조사
- [2025년 5월] MEDIA & MARKET ISSUE
자료요약
공포 관리 이론(terror management theory)에 근거하여 본 연구는 죽음의 현저함(mortality salience)이 상품의 질(높은 사회적 지위를 나타내는 상품 vs. 상대적으로 낮은 사회적 지위를 나타내는 대중적 상품)과 상품 유형(물질적 상품 vs. 경험적 상품)에 따라 상품에 대한 태도와 구매의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았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의 목표는 죽음의 현저함이 상기되었을 때 높은 사회적 지위를 나타내는 럭셔리 물질적 제품에 대한 태도와 구매 의도를 증가시키는지 그리고 대중적 물질적 제품에 대한 태도와 구매 의도에 있어서는 죽음의 현저함의 영향이 미미한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반면에 경험적 상품의 경우에는 물질적 상품과 달리 상품의 질(높은 사회적 지위를 나타내는 상품 vs. 상대적으로 낮은 사회적 지위를 나타내는 대중적 상품)과 관계없이 죽음의 현저함이 경험적 상품에 대한 태도와 구매 의도를 증가시키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는 앞서 제시한 내용처럼 죽음의 현저함이 물질적 상품과 경험적 상품에 대한 태도와 구매 의도에 다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논의와 실무적 시사점이 향후 연구에 대한 제안과 함께 제공되었다.
Based on terror management theory, this study examines how mortality salience affects consumers’ purchase intention for and attitudes towards material product and experiential product that are either high status or low status. Specifically,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if mortality salience increase attitudes towards and purchase intention for a luxury material product while there is little effect of mortality salience on attitudes towards and purchase intention for a low status material product. However, for experiential products we postulate that regardless of status of products mortality salience increases attitudes towards and purchase intention for experiential goods. Study results support mortality salience influence attitudes and purchase intention differently between material product and experiential product as suggested. Discussion and practical implication are provided along with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Based on terror management theory, this study examines how mortality salience affects consumers’ purchase intention for and attitudes towards material product and experiential product that are either high status or low status. Specifically,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if mortality salience increase attitudes towards and purchase intention for a luxury material product while there is little effect of mortality salience on attitudes towards and purchase intention for a low status material product. However, for experiential products we postulate that regardless of status of products mortality salience increases attitudes towards and purchase intention for experiential goods. Study results support mortality salience influence attitudes and purchase intention differently between material product and experiential product as suggested. Discussion and practical implication are provided along with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목차
1. 서론
2. 문헌 연구
3. 연구가설 설정
4. 연구 방법
5. 연구 결과
6. 결론 및 논의
7.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
2. 문헌 연구
3. 연구가설 설정
4. 연구 방법
5. 연구 결과
6. 결론 및 논의
7.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
경험적 소비
물질적 소비
공포 관리 이론
물질주의
Experiential Consumption
Material Consumption
Terror Management Theory
Materialis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