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채널 시대 TV방송 정치평론가 집단의 특성에 관한 연구
OOH광고학연구 | 한국OOH광고학회 | 21 pages| 2018.06.07| 파일형태 :
조회 3273 다운로드 0
자료요약
본 연구는 다채널을 특징으로 하는 새로운 방송환경 아래서 ‘시사토크쇼’를 매개로 전례 없이 활성화되고 있는 TV방송의 정치평론을 주도하는 평론가들의 인구사회학적 배경은 무엇이고 평론가 데뷔 이전의 경력 상의 특징은 무엇인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결과 첫째, 성별로는 남성평론가가 대다수를 차지하며 연령별로는 40~50대가 주축임을 보여주었다. 출신지역별로는 영남과 수도권 중심에로의 쏠림 현상이 있었다. 그리고 대부분이 대학졸업이상의 학력을 갖추고 있으며 박사학위 소지자가 전체의 38.1%를 차지하였다. 출신대학의 경우에는 서울소재 대학 출신의 비율이 압도적이며 그중에서도 서울대·연대·고대 등 소위 소수 명문대학 출신이 과반수이상을 점유하였다. 한편 대학은 국내에서 공부했지만 대학원은 외국대학에서 마친 소위 ‘유학파’ 평론가들이 상당수 분포하였다. 전공영역을 살펴본 결과 학부의 경우에는 특이하게도 법학전공이 가장 많았고 대학원의 경우에는 정치학 전공이 가장 많았다. 직업의 경우 현직의 변호사, 교수, 정당인, 신문사재직 언론인 등이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정치평론을 직업으로 갖는 즉 전업 평론가는 전체의 10% 수준에 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이들 평론가들의 데뷔이전 핵심경력을 토대로 유형화를 시도한 결과, 현존 평론가그룹은 ‘언론경력 중심의 평론가’, ‘학계경력 중심의 평론가’, ‘정계경력 중심의 평론가’, ‘법조경력 중심의 평론가’ 등의 4가지 유형으로 구분되었으며, 각 유형별로 등장배경이나 활동영역 등에서 차별화된 특징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in a specific manner, who indeed are the political commentators leading TV broadcasting’s political criticism, which is unprecedently invigorated throughout the broadcasting area with the mediation of ‘current affairs TV shows’. The research questions are: What is the socio-demographic background of the political commentators on TV? Which career characteristics do they have prior to their debut as commentators? According to research outcomes, first, the majority of political commentators were male in their forties and fifties. Their hometowns were concentrated in the Yeongnam region or the capital area. In addition, most of them had a bachelor’s degree or higher; 38.1% had doctoral degrees, showing a high level of education overall. As for the place of undergraduate education, universities in Seoul accounted for the vast majority; a few prestigious universities such as Seoul National University, Yonsei University, and Korea University comprised the vast majority. Meanwhile, commentators who had completed undergraduate studies in Korea but had gone overseas for graduate studies were also substantial in number. As for their major areas, interestingly, law majors accounted for the most in undergraduate school, followed by political science majors in graduate school. The professions of commentators were mostly current lawyers, professors, members of political parties, and journalists employed at newspaper companies. Those whose profession is political commentator accounted for only 10% of all commentators. Second, by categorizing political commentators appearing on TV based on their major work experience, four types were drawn: commentators with journalism-oriented careers, commentators with academia-oriented careers, commentators with politics-oriented careers, and commentators with legal affairs-oriented careers. Differentiated common factors were found in each category.
목차
Ⅰ. 문제제기
Ⅱ. 기존논의
Ⅲ. 연구문제
Ⅳ. 연구방법
Ⅴ. 연구결과
Ⅵ. 결과에 대한 논의
뉴미디어 정치평론 TV방송 정치평론가 시사토크쇼 인구사회학적 변인 핵심경력 political criticism political commentators on TV socio-demographic variables career
저작권 안내 및 사용범위와 규정
  •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 배포는 법적으로 "금지되어" 있습니다.
  • 저작권 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하단의 “고객센터”를 이용해주세요.
  • 기타는 저작물의 등록자가 정하는 사용 범위와 규정에 준합니다.
  • 위 자료는 한국OOH광고학회 가 저작권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자료 제공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