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온난화 이슈에서 낙인에 미치는 영향변수에 대한 연구
한국언론학회 | 한국언론학회 | 45 pages| 2018.01.05| 파일형태 :
조회 2187 다운로드 0
자료요약
일반인은 지구온난화가 심각하다는데 동의하고 있으며, 인간 활동에 의한 지구온난화 발생 원인 또한 알고 있다. 따라서 지구온난화를 유발하는 특정 행위에 대해서 낙인을 찍게 되며 이와 관련한 낙인은 예방 행동의도에 중요한 변수로서 작용한다. 본 연구는 ‘부정적 감정’을 강조한 낙인모델(Peters, Burraston & Merts, 2004)을 적용하여 지구온난화 예방 의도에 영향을 주는 여러 심리적 요인들의 관계를 구조적 모형을 통해 검증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기업/국가의 3개 범주로 낙인을 설정한 경우, 3개 모델 모두 기존 모델과 유사한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특히 국가 모델에서, 행동의도에 대한 설명력이 가장 높았으며 영향력 또한 가장 큰 것을 확인했다. 둘째, ‘인지적 평가’를 통한 ‘부정적 감정’의 핵심적 역할을 밝혔다. ‘부정적 감정’은 ‘낙인’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며, ‘위험 인식’을 통해 간접적으로도 영향을 미쳤다. 또한 인지적 평가를 통한 ‘부정적 감정’은 ‘정서’보다 ‘위험 인식’, ‘낙인’에 미치는 영향력이 컸다. 셋째, 개인변수인 ‘세계관’과 ‘감정반응성’은 ‘정서’, ‘중요’ 등을 매개로 하여 ‘부정적 감정’에 영향을 미쳤으며, ‘세계관’, ‘감정반응성’에서 ‘행동의도’로의 간접효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는 분석 결과를 통해 지구온난화 낙인 대상에 따른 위험 인식 과정의 경로를 설명할 수 있었으며, ‘행동의도’ 변수를 추가하고, 간접효과를 검정하는 등 기존 낙인모델을 적용 및 확장하였다는데서 연구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e general public agrees that global warming is serious, and also know the cause of global warming caused by human activities. Thus, stigma related to certain activities that cause global warming is stigmatized, so stigma related to global warming is an important variable. In this study, we applied the stigma model (Peters, Burraston & Merts, 2004) emphasizing `negative emotion`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ous psychological factors influencing behavioral intentions to prevent global warming through a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f stigmatization was set up in three categories of individual / business / national, all three models were able to produce similar results to the stigma models. In particular, in the national model, the explanatory power of behavioral intentions was the highest at 28 percent, and the influence was also the largest. Second, it revealed the key role of `negative emotion` through `cognitive appraisals`. `Negative emotions` directly affected `stigma` and indirectly through `risk perception`. Also, `negative emotions` through cognitive appraisals had a greater impact on `risk perception` and `stigma` than `affect`. Third, the personal variables `worldview` and `emotional reactivity` influenced `negative emotions` through `affect` and `important`, and they have indirect effect from `world view` to `behavioral intentions`.
The results of the study, we could explain the path of risk perception process according to global warming on each stigma model.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a result of applying and expanding the existing stigma model, such as adding `behavioral intention` variables and testing indirect effects.
목차
1. 연구 목적
2. 이론적 배경
3. 연구 방법
4. 연구 결과
5.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지구온난화 낙인모델 세계관 위험 인식 기후변화 Global warming `Emotion Based Model of Stigma Susceptibility` Worldview Risk perception Climate change
저작권 안내 및 사용범위와 규정
  •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 배포는 법적으로 "금지되어" 있습니다.
  • 저작권 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하단의 “고객센터”를 이용해주세요.
  • 기타는 저작물의 등록자가 정하는 사용 범위와 규정에 준합니다.
  • 위 자료는 한국언론학회 가 저작권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자료 제공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