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디어&마켓 리포트_25년 8월
- [나스미디어]2024년 11월 2025 디지털 미디어 & 마케팅 전망
- 2022 주류 소비 트렌드 리포트
- 2024년 6월 미디어 이슈 리포트
- [인크로스]2025년 1월 미디어 이슈 리포트
- 기아차 SOUL의 혁신적인 제품전략 -소비자의 soul을 움직이다-
- [2025년 7월] 2025 상반기 디지털 미디어 & 마케팅 결산
- [플레이디] 2025 광고·마케팅 트렌드 전망 리포트
- [메조미디어] 2024 업종 분석 리포트 02. 화장품
- [나스미디어] 2024년 11월 Meta 협력광고, 이커머스 시장의 게임 체인저
일반 검색광고와 쇼핑 검색광고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소비자 특성과 지각된 검색광고 특성: 미국 소비자를 대상으로
자료요약
검색광고는 검색엔진에 소비자가 입력한 검색어에 대응하여 검색결과 페이지에 노출되는 광고이다. 본 연구는 미국 소비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하여 구글 검색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일반 검색광고와 쇼핑 검색광고의 태도, 클릭빈도 및 구매빈도에 영향을 미치는 소비자 특성과 지각된 검색광고 특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소비자 특성에 관한 연구결과, 브랜드의식은 쇼핑 검색광고 효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충동구매성향은 검색광고 클릭빈도와 구매빈도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로, 광고회의가 높을수록 검색광고 태도가 더 부정적이었으며 클릭빈도와 구매빈도가 더 낮았다. 지각된 검색광고 특성에 관한 연구결과, 지각된 광고의 정보성은 검색광고 태도에 정의 영향을 미쳤지만, 지각된 침입성은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지각된 검색광고 과부하는 검색광고 클릭빈도와 구매빈도에 부의 영향을 미쳤다.
Search advertising is displayed on a search result page in response to a consumer?s search query. Using a survey method, this study examined the factors influencing the effectiveness of typical search advertising and shopping search advertising. Specifically, this study examined the influences of consumer characteristics and perceived search advertising characteristics on American consumers? attitude toward search advertising, click frequency, and purchase frequency. Regarding the consumer characteristics,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brand consciousness influences attitude toward shopping search advertising, click frequency, and purchase frequency positively. Impulse buying tendency has positive effects on both click frequency and purchase frequency. Moreover, the more consumers are skeptical about advertising in general, the more negatively they respond to search advertising. For the perceived search advertising characteristics, this study shows that perceived informativeness influences attitude toward search advertising positively. On the other hand, perceived intrusiveness has a negative influence on search advertising attitude. Finally, search advertising?s perceived overload influences both click frequency and purchase frequency negatively.
Search advertising is displayed on a search result page in response to a consumer?s search query. Using a survey method, this study examined the factors influencing the effectiveness of typical search advertising and shopping search advertising. Specifically, this study examined the influences of consumer characteristics and perceived search advertising characteristics on American consumers? attitude toward search advertising, click frequency, and purchase frequency. Regarding the consumer characteristics,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brand consciousness influences attitude toward shopping search advertising, click frequency, and purchase frequency positively. Impulse buying tendency has positive effects on both click frequency and purchase frequency. Moreover, the more consumers are skeptical about advertising in general, the more negatively they respond to search advertising. For the perceived search advertising characteristics, this study shows that perceived informativeness influences attitude toward search advertising positively. On the other hand, perceived intrusiveness has a negative influence on search advertising attitude. Finally, search advertising?s perceived overload influences both click frequency and purchase frequency negatively.
목차
Ⅰ. 서론
Ⅱ. 문헌연구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Abstracts
Ⅱ. 문헌연구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Abstracts
#검색광고
#쇼핑 검색광고
#Search advertising
#shopping search advertisin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