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셜미디어에서의 직·간접적 탈규범 경험이 청소년의 사회 규범 인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언론학회 | 한국언론학회 | 36 pages| 2019.11.29| 파일형태 :
조회 1637 다운로드 0
자료요약
이 연구는 중학생 대상 설문조사 자료를 분석하여 부모 세대는 탈규범적이라 규정하는 행동이 어떤 과정을 거쳐 청소년들에게 규범적 행동으로 승인받게 되는지를 설명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시작되었다. 이를 위해 포스트 디지털 세대인 중학생들의 소셜미디어 이용 행태를 조사하고 이 과정에서 기술적 규범과 명령적 규범을 어떻게 경험하는지를 탐색한 후 규범적 요인이 개인의 태도와 함께 개인의 소셜미디어 행동 그리고 오프라인에서의 규범 인식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았다. 주요 분석 변인은 네 가지 온라인 탈규범 행위(언어적 공격, 단축어 사용, 불법 다운로드, 자기 정보 노출)와 관련한 소셜미디어에서의 타인 행동 관찰, 이용자 본인의 태도와 제재 행동 동참여부, 그리고 관련된 규범에 대한 인식이었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타인이 탈규범 행동에 대해 제재하는 것을 많이 볼수록, 태도가 부정적일수록, 소셜미디어 네트워크의 규모가 클수록, 그리고 대체적으로 여자보다는 남자가 소셜미디어에서 탈규범 행동에 대한 제재 행위에 더 많이 동참한다. 둘째, 소셜미디어에서의 타인의 탈규범 행위 관찰(기술적 규범) 경험과 그러한 행동에 대한 사회적 제재 관찰(명령적 규범) 경험은 오프라인에서 해당 행위를 탈규범으로 인식하는 정도(규범인식)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이러한 인식에 설명력이 가장 큰 변인은 본인의 태도다. 셋째, 주요 변인들 간의 관계는 탈규범 행위별로 차이를 보인다. 탈규범 행동 유형별로 드러난 이러한 차이는 탈규범 행동의 속성이 같지 않음을 의미한다. 각 행위의 평균과 상관관계를 분석해 보면, 네 행위 중에서 상대방을 전제로 하는 행동인 언어적 공격과 단축어 사용이 유사하고 상대방 없이 혼자서 할 수 있는 행동인 불법 다운로드와 자기 정보 노출이 유사함을 발견할 수 있다. 종합해 보면, 소셜미디어에서의 규범 경험은 소셜미디어에서의 자기 행동에 영향을 미치고 이 행동이 장기간 누적되면 실제 생활에서의 규범 인식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아진다.

This study began with the aim of explaining how abnormative behaviors defined by parental generation are approved as normative behavior for adolescents by analyzing survey data of middle school students. This study investigates social media use behavior of middle school students who are ‘post digital natives’ and explores how they perceive the descriptive norms and inductive norms in experiences on social media. In addition, normative factors are analyzed, which affect individual"s social media behavior and perceptions of the norms in one’s offline life. The main analysis variables were the perception of the user"s attitude toward sanctioning behavior, the observation of other’s behaviors, and related perceptions of the norm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men with a lager social network and more exposed to others’ sanctions to abnormal behaviors are more likely to participate in the same sanctions than women with small social network and less exposed to the sanctions. Second, the experience of observing abnormative behavior of others in social media and the observation of social sanctions on such behavior does not influence perceptions of the norms directly. It is the attitude of the person that has the greatest explanatory power in this perceptions. Thir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in variables is different according to the type of abnormative behavior. This difference means that attributes of abnormative behavior are not the same.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normative experience in social media affects their behavior in social media and the long ? term accumulation of such behavior can not rule out the possibility of affecting normative perception in real life.


목차
1. 들어가며
2. 이론적 논의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결론 및 제언
#소셜미디어 #탈규범 #사회화 #세대 갈등 #청소년 #social media #social norm #socialization #generation conflict #adolescents
저작권 안내 및 사용범위와 규정
  •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 배포는 법적으로 "금지되어" 있습니다.
  • 저작권 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하단의 “고객센터”를 이용해주세요.
  • 기타는 저작물의 등록자가 정하는 사용 범위와 규정에 준합니다.
  • 위 자료는 한국언론학회 가 저작권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자료 제공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