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디지털 소통 활동의 질적 평가모형 연구 : 공공PR 분야 전문가 그룹 인터뷰를 중심으로
한국광고홍보학보 | 한국광고홍보학회 | 49 pages| 2024.12.04| 파일형태 :
조회 56 다운로드 0
자료요약
이 연구는 정부의 디지털 소통 활동을 평가함에 있어 체계적인 평가모형을 개발하기 위한 질적 개념화를 시도하였다. 먼저 문헌조사를 통해 디지털 소통 활동이라는 개념에 대해 정의하고, 그 유형을 살펴보았으며, 정부의 디지털 소통 활동을 평가하는 기존 연구들을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PR분야에서 주요하게 다루어지는 가상실재감, 창의성, 진정성 등을 중심으로 기존 연구를 요약하였으며, 이들 연구결과들의 주요한 개념들을 스터플빔이 제안한 CIPP 모형 프레임워크를 중심으로 배치하여 최초 평가모형을 제안하였다. 이어서 공공PR 분야의 전문가 그룹 10명을 대상으로 정부 디지털 소통활동의 조사, 기획, 운영, 평가의 차원에서 각기 어떤 활동들을 주목해야 하는지 반구조화된 질문지를 활용하여 심층 개별 인터뷰를 수행하였고, 응답자의 답변을 반영해 최초모형을 수정, 보완하였다. 그 결과, 최종모형은 조직 소통의 맥락(context) 수준에서 배경이 되는 정보의 객관성, 전문성, 다양성, 그리고 시의성이, 디지털 소통 전략 및 자원의 투입(input) 차원에서 전략적 기획, 콘텐츠 제작의 전문성, 콘텐츠 창의성이, 디지털 소통의 운영(process)에 있어 개방, 공유, 가상 실재감의 구현이, 소통 콘텐츠의 품질(product)의 차원에서 신뢰성, 일관성, 진실성이, 마지막으로 디지털 소통의 효과(outcome) 차원에서 진정성의 전달 정도가 다루어 져야 함을 보여준다. 이 같은 최종모형의 구성요인들을 중심으로 한 조사는 앞으로 정부의 디지털 소통 활동의 전문화와 과학화에 지속적으로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
목차
1. 서론
2. 이론적 고찰
3. 연구질문 및 질적 접근 방법
4. 결과
5. 결과 요약 및 질적 평가 구조화 모형 제안
6. 토론
참고문헌
Abstract
#공공PR#디지털 소통활동#정부 소통 평가#PR평가#진정성#Public Relations#Digital Communication Activities#Government Communication Evaluation#PR Evaluation#CIPPO#Authenticity
저작권 안내 및 사용범위와 규정
  •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 배포는 법적으로 "금지되어" 있습니다.
  • 저작권 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하단의 “고객센터”를 이용해주세요.
  • 기타는 저작물의 등록자가 정하는 사용 범위와 규정에 준합니다.
  • 위 자료는 한국광고홍보학회 가 저작권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자료 제공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