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 분석 방법에 대한 테크노스트레스가 사회과학 분야 대학원생의 자기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사회적 지지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PR학회 | 한국PR학회 | 27 pages| 2020.06.09| 파일형태 :
조회 1347 다운로드 0
자료요약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국내 사회과학 분야 대학원생에게 안정적인 연구 및 학업 환경을 조성해 줄 수 있는 실천적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데이터 분석 방법에 대한 테크노스트레스가 사회과학 분야 대학원생의 자기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과 교수 및 동료 대학원생의 사회적 지지가 발휘하는 조절 효과를 살펴보았다. 방법 연구문제와 주요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서울 소재 7개 대학에서 자기 기입식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고, 대학 원생 160명의 답변을 분석에 사용하였다. 결과 분석 결과, 테크노스트레스의 다섯 가지 하위 요인(테크노 과부하, 테크노 침해, 테크노 복잡성, 테크노 불안 감, 테크노 불확실성) 가운데 테크노 복잡성이 대학원생의 자기 효능감을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의 기술 지원을 통제했을 때 교수의 사회적 지지는 조절 효과를 발휘하지 못하였지만, 동료 대학원생의 사회적 지지는 완충 효과와 역완충 효과를 동시에 발휘하였다. 논의 및 결론 논문 작성에 필요한 데이터 분석 방법에 대해 테크노 복잡성을 약하게 느끼는 대학원생에게 동료 대학원생의 사회적 지지가 완충 효과를 발휘했다. 즉, 사회과학 분야 대학원생이 경험하는 테크노 복잡성을 최소화했을 때 동료 대학원생의 사회적 지지가 부정적인 영향력을 완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테 크노스트레스의 부정적인 영향력을 최소화할 수 있는 대학원(조직), 교수(상사), 동료 대학원생의 역할을 논의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practical ways to create a stable research and academic environment for graduate students in social sciences in Korea. Accordingly, this research examined how sub-dimensions of technostress related to data analysis methods would impact self-efficacy among social science graduate students and how social support from both professors and fellow graduate students would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echnostress and self-efficacy. Methods In order to explore the main research question and multiple hypotheses, self-administrated surveys were conducted at 7 universities in Seoul. In total 160 surveys from graduate students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Results As a result, among the five sub-dimensions of techno-stress(techno-overload, techno-invasion, techno-complexity, techno-insecurity, techno-uncertainty), techno-complexity lowered the self-efficacy of graduate students. When the university's technical support was controlled, the professor's social support did not have a moderating effect, but the coworker's social support had both a buffering effect and a reverse buffering effect. Conclusions The social support of fellow graduate students has a buffering effect on graduate students who feel weak techno-complexity about the data analysis method required for thesis. In other words, when the techno-complexity experienced by graduate students in the social science field was minimized, the social support of fellow graduate students was found to alleviate the negative influence.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the roles of graduate school(organizations), professors(supervisors), and fellow graduate students who can minimize the negative impact of technostress were discussed.
목차
요약
서론
이론적 배경
테크노스트레스와 자기 효능감
테크노스트레스와 자기 효능감에 대한 사회적 지지의 역할
연구 방법
자료 수집
측정 도구
사회적 지지
기술 지원
연구 결과
주요 변인의 기술 통계 및 상관관계 분석
테크노스트레스가 대학원생의 자기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사회적 지지의 조절 효과
결론
References
Abstract
#테크노스트레스 #자기 효능감 #대학원생 #사회적 지지 #조직 커뮤니케이션
저작권 안내 및 사용범위와 규정
  •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 배포는 법적으로 "금지되어" 있습니다.
  • 저작권 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하단의 “고객센터”를 이용해주세요.
  • 기타는 저작물의 등록자가 정하는 사용 범위와 규정에 준합니다.
  • 위 자료는 한국PR학회 가 저작권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자료 제공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