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제목 저자 출처 학회/발행처
한국PR학회 회원 규정 외 | 2021.07.09
기타 | 한국PR학회 (한국PR학회)
비만에 대한 국내 미디어 뉴스 내용 분석 연구 : 건강 신념 모델(Health Belief Model)의 적용 | 2021.07.09
기타 | 한국PR학회 (한국PR학회)
배경 및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적 상황에서 비만 이슈에 대한 미디어 뉴스 프레임을 분석하고, 국내 미디어들이 비만 이슈에 대한 사회적 담론을 어떻게 제시하고 있는지, 실제 비만 예방 행동과 문제 해결에 유용한 정보 를 전달하고 있는지 살펴보는 데 있다. 방법 수용자들의 건강 예방 행동에 대한 설명을 위해 건강 신념 모델에 기반한 미디어 프레임 분석 틀을 적용하 여 2017년부터 2019년까지 게재된 국내 주요 일간지 네 종의 총 431개 뉴스 기사를 분석 대상으로 하였 다. 건강 신념 모델의 다섯 개 구성 요소에 근거해 미디어 프레임 내용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가장 빈번하게 나타난 구성 요소는 비만 예방과 치료를 위한 내적 행동 계기였고, 그 다음으로 비만에 대한 지각된 민감성과 지각된 심각성 순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비만 예방과 치료를 위한 외적 행동 계기, 지각 된 이익, 지각된 장애 요인 등의 구성 요소들은 상대적으로 적게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국내 미디어들은 향후 비만에 대한 뉴스 보도와 관련해 비만 예방과 치료를 위한 적극적 행동 계기, 지각된 이익, 지각된 장애와 해소 요인에 대한 프레임 정보 제공을 늘림으로써, 한국 사회의 비만 문제 해결과 수용자들의 비만 예방 행동 촉진을 위한 실질적인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사회적 가치 지향, 주관적 지식, 정치적 성향이 원자력 관리 기관 신뢰도, 원자력 발전 기술 태도, 친원자력 정책 지지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2021.07.09
기타 | 한국PR학회 (한국PR학회)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최근 들어 사회적 논쟁이 더욱 심화되고 있는 원자력 발전에 대한 여론 형성과 변화의 기제를 보다 개인적이고 미시적인 차원에서 분석하고자 기획되었다. 방법 선행 연구 검토를 통해 사회적 가치 지향, 주관적 지식, 정치적 성향을 원자력 발전에 대한 다양한 심리 반응 들의 예측 변인으로 상정하고 전국 규모의 설문 조사를 통해 수집한 자료를 통계 분석하였다. 결과 주관적 지식은 원자력 관리기관 신뢰도, 원자력 발전 기술 태도, 친원자력 정책 지지 의도와 통계적으로 유의 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형성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또한 보수적인 정치 성향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일수록 진보적인 정치 성향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 보다 훨씬 긍정적인 신뢰도, 태도, 행동 의도를 표명하고 있음이 밝혀졌다. 한편, 친자기적 성향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이 친사회적 성향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 보다 더 높은 친원자력 정책 지지 의도를 표명하고 있음이 발견되어 사회적 가치 지향의 주효과도 일부 검증되었다. 주관 적 지식과 정치적 성향 간 유의미한 상호작용 효과도 확인되었는데, 특히 보수적인 정치 성향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 가운데 주관적 지식이 신뢰도, 태도, 행동 의도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이 더욱 크게 발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국가 에너지 정책과 연관되어 사회적으로 격화되고 있는 원자력 발전에 대한 찬반 여론의 동역학을 이해하는 데 있어서 새로운 시각을 제시하고 있다.
코로나19 위험 커뮤니케이션 탐색 연구 : 소셜 미디어 의존 이론을 응용한 정부와 일반인 유튜브 콘텐츠와 댓글 내 담론 분석 | 2021.07.09
기타 | 한국PR학회 (한국PR학회)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코로나19가 지속되는 위험 상황에서 소셜 미디어 의존 이론을 기반으로, 소셜 미디어를 대표하는 유튜브상 코로나19 대응 주무 정부 기관이 생성하고 업로드한 콘텐츠와 이에 대한 댓글, 그리고 정부 기관이 아닌 일반인이 생성하여 공유한 유튜브 콘텐츠와 이에 대한 댓글 내 담론을 비교 분석하였다. 나아가, 국내 코로나19 1차 대유행 시점부터 현 진행 상황인 3차 대유행 추이에 맞게 시계열적 추이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방법 유튜브 콘텐츠 추출 프로그램으로 모집된 총 823건의 정부 기관 콘텐츠, 이에 대한 1만1399건의 댓글, 일 반이 업로드한 1088건의 콘텐츠와 이에 대한 8만9816개의 댓글을 대상으로 주제어 빈도 분석, 토픽 모델 링의 LDA 분석과 연결 중심성(degree centrality) 분석을 통한 동시 출현(co-occurrence) 단어와 최종 핵심어를 도출하였다. 결과 각 대유행 시기별 정부 기관의 유튜브 콘텐츠는 코로나19 발생 상황, 확진자나 격리자 정보, 감염 경로 등과 같은 위험 정보 제공 등 신속성과 일관성 그리고 투명성 부분에서 통일된 메시지가 전달되었다. 하지만, 정부 기관 내용에 대한 댓글이나 일반인 콘텐츠 및 그 댓글은 대유행마다 존재했던 이슈에 좀 더 구체적이고 민감 하게 반응하였다. 1차 대유행 시기에는 정부의 방역 노력에 대한 감사 표현과 찬사가 많았지만, 대유행이 3 차로 이어지면서 코로나19 대응에 대한 정부 대책의 미비 및 정책적 실효성에 대한 부정적인 목소리도 다수 존재하였다. 논의 및 결론 코로나19 이슈는 소멸된 위험 이슈가 아닌 지금도 진행형이며, 향후에도 지속적으로 국민의 건강과 직결하 는 높은 위험성을 지니기에, 위험 관리 측면에서 정부의 효율적이며 전략적인 양방향 위험 커뮤니케이션 역 할을 강조하는 논의를 제시하였다.
관계성이 위기관리 효율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 : PR 실무자(클라이언트와 대행사)를 중심으로 | 2021.07.09
기타 | 한국PR학회 (한국PR학회)
배경 및 목적 PR 클라이언트 실무자와 PR 대행사 실무자들이 서로의 관계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알아보고, 이들의 관계성 수준이 위기관리와 관련한 업무 갈등과 업무 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는 것이 이번 연구의 목적이다. 방법 클라이언트 또는 대행사 위치에서 위기 관련 업무를 해본 경험이 있는 PR 실무자들을 대상으로 웹서베이를 통해 상호 간의 관계성, 업무 갈등, 그리고 업무 성과에 대한 인식 수준을 측정했다. 자료 분석을 위해 SPSS 프로그램을 활용한 기술 통계, 상관관계 분석, T-test, 그리고 위계적 다중 회귀 분석 등을 실시했다. 결과 첫째, 클라이언트와 대행사의 PR 실무자들은 서로의 관계성(만족, 신뢰, 상호 통제)에 대해서 상호 간에 인 식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PR 클라이언트 집단에서는 상호 통제 관계가 위기 관련 업무 갈등에 부 (-)적으로 영향을 미쳤고, 만족 관계와 상호 통제 관계는 각각 업무 성과에 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PR 대행사 집단에서는 신뢰 관계가 업무 갈등에 부(-)적으로 유의미한 영향 을 미치는 것을 확인했고, 만족 관계는 업무 성과에 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이번 연구는 기존 관계성 연구들의 내용과 큰 맥락에서 궤를 함께하는 결과를 도출했으며, 이러한 PR 클라이 언트와 대행사 실무자들의 관계성 인식 수준이 위기관리 업무에서도 영향을 줄 수 있음을 확인했다.
한국 PR 연구의 연구 경향 : 『홍보학연구』를 중심으로 | 2021.07.09
기타 | 한국PR학회 (한국PR학회)
배경 및 목적 한국 PR학의 연구 경향을 확인하기 위해 대표 논문집인 『홍보학연구』를 대상으로 공고한 이론 체계와 연구 방법론이 존재하는지, 공통된 연구 주제가 축적되고 있는지, 학문 공동체가 얼마나 활발하게 발전하는지 분석했다. 이를 통해 후속 연구자들에게 PR학의 연구지형 정보를 제공해 PR학의 질적 발전을 위한 기초 자료 를 제공하고자 했다. 방법 1997년부터 2020년까지 『홍보학연구』에 게재된 논문 481편의 PR 이론 종류, 연구 방법론, 키워드, 연구자수 등을 코딩하고 빈도, 교차, 추세선 분석을 수행했다. 결과 해가 갈수록 PR 이론의 활용이 증가하고, 연구 접목 분야, 자료 수집 방법 등이 다양해졌다. 그러나 한국 문 화를 반영하거나 새로운 이론을 개발하려는 노력은 부족했다. 자료 수집 방법이나 표집 방법을 명시하지 않 는 경우가 많았고, 자료의 타당도를 보고하는 노력이 부족했다. 한국PR학회로 명칭을 개정하기 전에도 ‘공 중’과 ‘관계’에 대한 관심이 높았고, 2010년대부터 ‘커뮤니케이션’, ‘평판’, ‘미디어’로 관심이 이동했다. 해가 갈수록 주요 연구 분야에 대한 연구 결과들이 축적되었다. 발행 논문 수가 점차 증가하다가 2015년을 기 점으로 감소했고, 연구비 수주 논문들이 증가했지만 대부분 대학이나 한국연구재단 지원이었다. 논의 및 결론 한국 문화 및 뉴미디어 환경에 맞는 이론 수정이 필요하고, 연구 결과 보고 개선을 위한 학회 차원의 제도 정 비가 필요하다. PR학의 전체 지형을 분석할 수 있는 네트워크 분석 및 연구 활성화를 위한 공공기관과의 데 이터 공유 방안도 필요하다.
CEO 갑질에 대한 공중 반응 연구 : CEO 특성, 갑질 유형, 갑질 피해 대상에 따른 분석 | 2021.04.05
기타 | 한국PR학회 (한국PR학회)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CEO의 갑질로 인해 발생한 기업 위기 상황에서 CEO의 이미지, 성별, 갑질의 유형과 피해 대상이 공중의 부정적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방법 연구를 위해 CEO 이미지(서민적 vs. 귀족적), CEO 성별, 갑질 피해 대상(내부인 vs. 외부인), 갑질 유형(폭 력성 vs. 불공정성)을 독립 변인으로 설정하여 2 × 2 × 2 × 2 개체 간 실험 연구를 실시했다. 결과 연구 결과, 응답자들은 CEO가 내부 공중인 직원에게 갑질을 했을 때 보다 외부 공중에게 갑질을 했을 때 더 욱 강하게 처벌해야 한다고 답했다. 전반적으로 오프라인 부정적 커뮤니케이션 의도가 온라인보다 높게 나 타났으며, 온라인의 경우 중간 값인 4에도 미치지 않았다. 더불어, 폭력성 갑질이 불공정 갑질에 비해 오프 라인 부정적 커뮤니케이션 의도가 높게 나타나 사람들이 CEO의 폭력성 갑질에 보다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 으로 보인다. 한편,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는 않으나 남성 CEO가 여성보다, 귀족적 이미지의 CEO가 서민 적 이미지의 CEO보다 공중에게 보다 부정적인 반응을 이끌어 냈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기존 연구에서 많이 다뤄지지 않은 CEO의 윤리적인 위반 행위인 갑질에 집중하여, 이때 CEO 성 별이나 이미지에 따라 공중의 반응에 차이가 있는지 살폈다. 또한, 처벌 기대 반응이라는 새로운 개념의 종속 변인을 제시하여 위기관리 연구의 이론적 폭을 넓혔다.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influence of the CEO image, CEO gender, attributes of Gapjil, and the victims’ types of Gapjil on negative public responses in the corporate crisis caused by Gapjil, an arrogant and authoritarian attitude or actions performed by CEO. Methods A 2 × 2 × 2 × 2 between-groups experiment was designed with independent variables which are CEO image(Plain folks vs. the Aristocratic), CEO gender(Male vs. Female), the victims’ types of Gapjil(Internal public vs. External public) and the attributes of Gapjil (Violence vs. Unfairness). Results The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 CEO should be punished more strongly when he/she overstepped his/her authority on the internal public than the external public. In general, offline negative communication intention was higher than that of online. In the case of online negative communication intention, its score was less than the median(4). Furthermore, when it comes to the attributes of Gapjil, people seem to be more sensitive to violent Gapjil, as violent-Gapgil has a higher offline negative communication intention compared to unfair-Gapjil. On the other hand, although it i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 male CEO and a CEO with aristocratic image have drawn more negative responses from the public than a female CEO and a CEO with plain folks image. Conclusions This study focused on Gabjil, the unethical violation behavior of the CEO, which has not been addressed much in previous studies, to investigate if there are differences in public responses depending on the CEO gender or image. In addition, by presenting a new concept as a dependent variable, expected punishment responses, the study tried to expand the theoretical scope of crisis management research.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한국 사람들의 인식 형성 과정 연구 : 미디어 보도와 수용자 인식에 대한 의미 연결망 분석을 중심으로 | 2021.04.05
기타 | 한국PR학회 (한국PR학회)
배경 및 목적 이 연구는 한국 사람들은 북한이탈주민을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해서 미디어 효과 이론에 근 거해서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미디어 보도와 수용자 인식을 비교, 분석하였다. 방법 미디어 보도를 분석하기 위해서 2017년 1월 1일부터 2019년 12월 31일까지 14개 신문사에서 북한이탈 주민 관련 기사 757건을 수집하였다.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수용자의 인식을 살펴보기 위해서 일반인을 대 상으로 하는 개방형 설문을 진행하여 의미 연결망 분석을 시행하여 미디어 보도와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북한이탈주민 관련 신문 보도에서 새터민과 북한이탈주민은 통일 문제와 같은 국내적 이슈들과 연결되어 있 는 반면에 탈북자는 난민, 인권 문제와 같은 국제적 이슈들과 연결되어 있었다.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수용자 들의 인식 네트워크에는 관심, 지원, 도움, 적응, 동포 등과 같은 핵심어들이 자리 잡고 있었다. 논의 및 결론 신문 보도에서 북한이탈주민은 국내적 시각과 국제적 시각으로 구분해서 바라보고 있었다. 수용자는 북한이 탈주민과 연관된 이야기를 이성적인 단어에 의존해서 기억하기보다는 이미지나 감정적인 단어에 의존해서 기억하고 있었다. PR의 공공 캠페인 차원에서 신문의 목적에 따른 용어 혼용을 제한하고 일관된 용어 사용을 위한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수용자의 인식에서 존재하는 부정적인 단어들을 개 선하기 위한 노력들이 필요하다. Objectives Based on media effects theories,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and compare between media reports and audiences’ perceptions in order to explore how South Korean people consider residents escaping from North Korea. Methods For analyzing media perspectives, this study collected 757 newspaper articles from 14 newspaper organizations from January 1st 2017 to December 31st 2019. For analyzing audience perspectives, this study conducted an online survey for the general South Korean people. Finally, a series of semantic network analysis was conducted for analysing those data. Results In the newspapers, words such as Saetemin and residents escaping North Korea were used to closely associate with internal issues like unification betwwen South and North Koreas; while a word like North Korean defectors was closely linked to international issues like human rights. The perceptions of audiences included key words like concerns, support, and help. Conclusions Newspapers in South Korea have utilized the residents escaping from North Korea with internal and international perspectives. The audiences has perceived of residents escaping from North Korea with pitiful images and emotions. In the PR campaign, PR professionals should attempt to decrease multi-purpose uses of the newspapers and potential negative images of the audiences.
PR 이론의 발전 양상 분석 : 국내 공중/문제해결 상황 이론, 공중 관계성 이론, 우수 이론, 정황적 수용 이론, 상황적 위기 커뮤니케이션 이론을 활용한 논문을 중심으로 | 2021.04.05
기타 | 한국PR학회 (한국PR학회)
배경 및 목적 PR 분야에서 자생한 공중/문제해결 상황 이론, 공중 관계성 이론, 우수 이론, 정황적 수용 이론, 상황적 위기 커뮤니케이션 이론이 이론 평가 기준인 설명력, 예측력, 명확성, 반복 검증성, 지적 자극성을 기준으로 어떤 발전 양상을 보이는지 진단하고, 향후 각 이론이 발전해 나가야 할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방법 ‘학술교육원’과 네이버의 ‘학술정보’에서 각 이론들의 연관 키워드를 검색하고(2020년 7월 말 발행 기준, 2019년도 KCI 기준), PR 전공 교수 1명 및 박사과정생 2명이 이론의 설명력(논문집, 연구 적용 조직의 다 양성 등), 예측력(가설 지지 정도), 명확성(연구 방법론 제시 등), 반복 검증성(자료 수집 방법 다양성 등), 지 적 자극성(연구자 수 등)을 코딩하고 빈도 분석, 교차 분석 및 추세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이론의 설명력 측면에서 공중 관계성 이론과 상황적 위기 커뮤니케이션 이론이 가장 우수했으나 5개 이론 모 두 다른 이론과의 접목이나 이론을 적용하는 연구 대상자가 해가 갈수록 크게 다양해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 났다. 공중 관계성 이론과 상황적 위기 커뮤니케이션 이론의 예측력은 해가 갈수록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 으나 다른 이론들은 예측력이 증가했다. 해가 갈수록 PR 이론들이 자료 수집 방법이나 표집 방법을 명확히 제시하지 않는 경우가 많았고, 자료 수집 방법이나 표집 방법이 다양해지지 않아 반복 검증성의 발전이 정체 된 것으로 판단된다. 다만 해가 갈수록 PR 이론을 연구하는 연구자 수나 게재 논문량이 증가해 PR 이론들의 지적 자극성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5개 PR 이론 중 상황적 위기 커뮤니케이션 이론과 공중 관계성 이론이 우수한 이론의 기준에 가장 부합했지 만 지적 자극성을 제외하고 5개 이론 모두 해가 갈수록 이론 발전이 크게 나아지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해 다른 학문 분야와의 공동 세미나 개최, 학회나 협회 차원의 공공 데이터 개발 및 배포 등 구체적인 해결 방안을 제안했다. Objectives This study evaluated five PR theories in terms of explanatory power, predictive power, clarification, falsifiability, and heuristic provocativeness and proposed future research directions to support independent theory development within PR discipline. Methods One PR professor and two doctoral students searched several keywords related to situational theory of publics/problem solving, organization-public relationship theory, excellence theory, contingency theory of accommodation, and situational crisis communication theory in Earticle.net and Naver Academic Information service and coded five theories in terms of good theory evaluation criteria. Results Although OPR and SCCT had good explanatory power, five theories had low level of explanatory power in terms of applications to other theories and various research participants. Predictive power of STP/STOPS, excellence theory, and CTA was increasing while OPR and SCCT were decreasing. Research articles utilizing five PR theories did not elaborate how to gather data and sampling clearly. Also they did not adopt various data gathering and sampling methods as time goes by. But, five PR theories had a good heuristic provocativeness in that many researchers participated in publish research articles based in five PR theories. Conclusions Five PR theories need to focus on enhancing explanatory power, predictive power, clarification, and falsifiability. Active collaboration with other research fields and public data development and sharing within PR disciple is necessary in the future.
의학 정보 유튜브 크리에이터 평판 및 콘텐츠 속성이 시청자의 건강행동 의도에 미치는 영향 : 정보 신뢰도의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 2021.04.05
기타 | 한국PR학회 (한국PR학회)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건강에 대한 관심 증대와 더불어 최근 온라인상에서 건강 정보를 찾는 현상에 주목하였다. 유튜브 플랫폼과 1인 미디어에 초점을 두고 유튜브 의학 정보 콘텐츠의 시청이 건강행동 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 는지 탐색하였다. 방법 구체적으로 시청자가 지각하는 크리에이터의 평판(커뮤니케이션 능력, 영향력, 진정성, 호감도)과 콘텐츠 자 체에 대한 속성(정보성, 오락성)이 건강행동 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그 관계에서 정보 신뢰도의 매개 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를 위해 온라인 설문 조사를 실시, 의학 정보 유튜브 콘텐츠 시청 경험이 있는 157명의 데 이터를 활용하여 연구가설과 연구문제를 검증하였다. 결과 그 결과 의학 정보 유튜브 콘텐츠 크리에이터의 평판과 콘텐츠 속성이 건강행동 의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정보 신뢰도의 매개 효과가 나타났다. 이는 시청자가 의학 정보 콘텐츠의 크리에이터를 긍정적으 로 평가하고, 콘텐츠의 정보성과 오락성을 인지할 때, 건강행동 의도가 높아진다는 것이다. 특히 정보 신뢰 도의 매개 효과가 입증되어 콘텐츠의 정보를 신뢰할 때, 건강행동 의도가 높아지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각 각의 하위 요인의 상대적 영향력을 비교한 결과 크리에이터 평판 중 진정성이 가장 큰 효과를 발휘하였으며, 콘텐츠 속성의 경우 오락성보다 정보성의 효과가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논의 및 결론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국민의 건강 증진을 위해 유튜브가 효과적인 채널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하였 고, 국민 건강 증진을 위한 유튜브 의학 정보 콘텐츠의 역할과 전략적 활용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Objectives This study noted the recent phenomenon of finding health information online as well as increasing interest in health. Especiall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viewing contents related to medical information on health behavior intentions with a focus on Youtube and personal media contents. Methods We analyzed how creators’ reputation perceived by viewers(communication competence, influence, likeability and authenticity) and contents attributes(informativeness and entertainingness) affects the intentions of health behavior in terms of information reliability. Hypotheses and research questions are verified by 157 usable responses collected through an online survey targeting those who watched contents related to medical information on YouTube for at least once. Results Results of analysis indicated that creators’ reputation perceived by viewers and contents attributes are positively correlated to intentions of health behavior, which was mediated by information reliability. In other words, the intentions of health behavior increased when viewers positively assess the creator of contents or the informativeness and entertainingness of contents are perceived. The mediation effect of information reliability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on enhancing the intentions of health behavior. Within the factors of creators’ reputation perceived by viewers, authenticity was found the be the strongest explanatory variable for health behavior intentions while the factors of contents attributes, informativeness correlates to health behavior intentions stronger than entertainingness. Conclusions The main findings of this research indicates that YouTube can be an effective channel for national health promotion. The role and application plan of YouTube contents related to medical information are also discussed.
자료 제공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