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투운동은 누구에게 어떤 과정을 통해 지지받는가?
한국언론학회 | 한국언론학회 | 29 pages| 2019.01.10| 파일형태 :
조회 1369 다운로드 0
자료요약
본 연구는 사회운동의 동원(mobilization) 과정 및 집단정체성 이론을 토대로 최근 급격하게 확산된 미투운동(#MeToo movement) 관련 미디어보도가 수용자의 미투운동 참여의사 형성에 미친 영향을 살펴보았다. 젠더(gender) 관련 사회운동 참여 및 태도에 대한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미디어보도에의 노출이 ‘젠더문화의 심각성 인식’, ‘미투운동을 통한 젠더불평등 개선기대감’, ‘미투운동의 반발 우려’를 매개하여 미투운동 참여의사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지, 아니면 매개과정 없이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또한 이러한 미디어의 동원효과 패턴이 ‘성별’이라는 집단정체성에 따라 달라지는지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한국언론진흥재단 미디어연구센터에서 실시한 “성폭력 피해 폭로 ‘미투’ 운동에대한 국민 인식” 온라인 설문조사 응답자(N=1063)의 응답을 2차분석하였으며, 미디어의 동원효과와 성별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다집단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디어의 동원효과는 남성(n=499)과 여성(n=501) 응답자 모두에게 나타났다. 둘째, 반면 성별에 따라 동원효과의 패턴은 다르게 나타났다. 남성응답자에게서는 미디어보도 노출이 한국 젠더문화의 심각성 인식과 미투운동을 통한 젠더불평등 개선기대감을 경유해 참여의사를 형성하는 간접효과가 나타난 반면, 여성응답자에게서는 미디어보도 노출이 별다른 매개 없이 곧바로 미투운동 참여의사로 이어지는 직접효과가 발생했다. 즉 미투운동 관련 미디어보도에의 노출이 참여의사 형성에 미치는 영향은 그 유형은 달랐지만 남녀 모두에게서 유의미하게 발견되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함의와 한계점 역시 제시하였다. 
 
This study, based on previous works on people’s participation to and attitude towards social movement, examines how the mass media influence people’s attitudes toward the #MeToo movement. We examine the pattern of media mobilization, and how it differs between women and men. Specifically, we focus on the role of mediating variables, such as ‘recognition of the seriousness of gender culture,’ ‘expectations of #MeToo movement on solving gender inequality,’ and ‘concern towards the backlash of #MeToo movement,’ linking the relationship between media exposure and social movement participation; additionally, how the mediating mechanism varies, depending on the gender of respondents. Exploiting multi-group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 second analysis of public data provided by Korea Press Foundation Media Research Center (N = 1063) was conducted to test the mobilization effect of media and how the effect is moderated by gender. Our findings, interestingly, show female mobilization effect occurs without mediation (i.e., direct effect) but male mobilization effect is observed via mediating routes (i.e., indirect effect). However, the total effect size of mobilization is similar between women and men.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our findings are also discussed
목차
1. 서문
2. 이론적 논의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논의 및 결론
미투운동 집단정체성 사회운동참여 반발(backlash) 다집단 구조방정식 모형 #MeToo movement group identity social movement participation backlash multi-group SEM
저작권 안내 및 사용범위와 규정
  •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 배포는 법적으로 "금지되어" 있습니다.
  • 저작권 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하단의 “고객센터”를 이용해주세요.
  • 기타는 저작물의 등록자가 정하는 사용 범위와 규정에 준합니다.
  • 위 자료는 한국언론학회 가 저작권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자료 제공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