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디어&마켓 리포트_25년 8월
- [나스미디어]2024년 11월 2025 디지털 미디어 & 마케팅 전망
- 2022 주류 소비 트렌드 리포트
- 2024년 6월 미디어 이슈 리포트
- [인크로스]2025년 1월 미디어 이슈 리포트
- 기아차 SOUL의 혁신적인 제품전략 -소비자의 soul을 움직이다-
- [2025년 7월] 2025 상반기 디지털 미디어 & 마케팅 결산
- [플레이디] 2025 광고·마케팅 트렌드 전망 리포트
- [메조미디어] 2024 업종 분석 리포트 02. 화장품
- [나스미디어] 2024년 11월 Meta 협력광고, 이커머스 시장의 게임 체인저
담뱃갑 경고 그림에 대한 정서적 반응이 흡연자의 금연의도에 미치는 영향 : 흡연 기간에 따른 공포, 혐오, 반응 효능, 죄책감 인식을 중심으로
자료요약
1. 요약
2. 서론
3. 문헌 고찰
3-1. 헬스 커뮤니케이션 이론과 정서적 반응
3-2. 국내 담뱃갑 경고 그림 연구 현황
3-3. 공포와 혐오
3-4. 반응 효능감
3-5. 죄책감
4. 연구 방법
4-1. 사전 설문 조사
4-2. 본 설문 조사
4-3. 변인 측정
5. 연구 결과
5-1. 결론 및 함의
2. 서론
3. 문헌 고찰
3-1. 헬스 커뮤니케이션 이론과 정서적 반응
3-2. 국내 담뱃갑 경고 그림 연구 현황
3-3. 공포와 혐오
3-4. 반응 효능감
3-5. 죄책감
4. 연구 방법
4-1. 사전 설문 조사
4-2. 본 설문 조사
4-3. 변인 측정
5. 연구 결과
5-1. 결론 및 함의
목차
본 연구는 현재 국내에서 시행 중인 담뱃갑 경고 그림에 대한 흡연자들의 정서적 반응이 금연 의도에 미치는영향을 살펴봄과 동시에 흡연 기간에 따라 그 영향이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탐색해 보았다. 연구 결과 흡연자들은 담뱃갑 경고 그림에서 공포감, 혐오감, 자기 죄책감 등의 정서를 느낄수록 흡연 의도가 높아지며 이중에서도 반응 효능감과 타인 죄책감을 느낄 때 금연 의도가 가장 높아진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이러한 영향은흡연 기간의 길고 짧음에 따라 금연 의도가 달라지지는 않았다. 하지만 전반적으로 흡연 기간이 짧을수록 경고 그림의 정서적 반응을 통한 금연 의도는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This study examined how the effect of smokers’ diverse emotional responses to graphic cigarette warning label on their quitting intention differ in terms of their smoking experience period. The results showed that all types of felt emotions from the warning labels affected stop-smoking intention. Specifically, ‘response efficacy’ and ‘feeling of guilt related to others’ toward the warning labels played a role as significantly powerful predictors of quitting intention. Second, the smokers with less smoking experiences are more likely to show stop-smoking intention when feeling emotions from the cigarette warning labels. However, this study found no moderated effect of smoking experience period between the felt emotions from warning labels and stop-smoking intention.
This study examined how the effect of smokers’ diverse emotional responses to graphic cigarette warning label on their quitting intention differ in terms of their smoking experience period. The results showed that all types of felt emotions from the warning labels affected stop-smoking intention. Specifically, ‘response efficacy’ and ‘feeling of guilt related to others’ toward the warning labels played a role as significantly powerful predictors of quitting intention. Second, the smokers with less smoking experiences are more likely to show stop-smoking intention when feeling emotions from the cigarette warning labels. However, this study found no moderated effect of smoking experience period between the felt emotions from warning labels and stop-smoking intention.
담뱃갑 경고 그림
공포감
혐오감
반응 효능감
죄책감
graphic cigarette warning label
fear
disgust
response efficacy
guilty feelin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