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혼 이주 여성의 결혼 만족에 대한 부부 커뮤니케이션, 부부의 문화 적응 및 성 역할 인식의 영향
자료요약
본 연구는 10,252쌍의 결혼 이주 여성과 한국인 남편 부부를 대상으로 결혼 이주 여성의 결혼 만족에 대한 부부 커뮤니케이션, 부부의 문화 적응과 성 역할 인식의 영향을 살펴보았다. 부부 커뮤니케이션은 남편의 아내 모국어 능력, 아내 모국어 사용 커뮤니케이션 환경 그리고 의사 결정으로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남편의 아내 모국어 능력과 아내의 모국어 사용 커뮤니케이션 환경은 결혼 만족과 긍정적 관계에 있었다. 의사 결정은 부부가 합의에 의해 의사 결정을 할 때 아내의 결혼 만족이 높았다. 남편이 아내보다 더 동화적 문화 적응 인식을 가졌고 부부간 동화적 문화 적응에 관한 인식의 차이가 클수록 아내가 결혼에 만족하지 않았다. 아내가 남편보다 진보적인 성 역할 인식을 가졌으나 부부 차이는 아내의 결혼 만족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국제결혼부부 커뮤니케이션 연구의 필요성과 우리나라 다문화 정책 및 서비스 프로그램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였다.
목차
요약
1. 문제 제기와 연구 목적
2. 이론적 논의
1) 시스템 이론과 결혼 이주 여성의 결혼 만족
2) 결혼 이주 여성의 결혼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3.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2) 변인의 측정
4. 연구 결과
1) 연구 대상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2) 연구 변인에 대한 기술 통계
3) 연구 가설과 연구 문제 검증
5.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1. 문제 제기와 연구 목적
2. 이론적 논의
1) 시스템 이론과 결혼 이주 여성의 결혼 만족
2) 결혼 이주 여성의 결혼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3.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2) 변인의 측정
4. 연구 결과
1) 연구 대상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2) 연구 변인에 대한 기술 통계
3) 연구 가설과 연구 문제 검증
5.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결혼 이주 여성
부부 커뮤니케이션
한국언론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