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 요약
■ 제1장 연구배경 및 목적
1. 연구배경 011
2. 연구 목적 014
3. 연구의 의의 015
4. 연구추진 체계 016
5. 연구진행 방법 018
■ 제2장 이론적 논의와 문헌검토
1. 소셜미디어와 트위터 020
1) 소셜미디어의 개념
2) 트위터의 기원
3) 트위터의 확산 현황
2. 저널리즘 가치와 마케팅 전략 변화 025
1) 소셜미디어와 뉴스소비 패턴 변화
2) 전통적 저널리즘 역할의 변화
3) 마케팅 툴로서의 소셜미디어
3. 트위터 기반 정책 홍보 034
1) 정부의 PR패러다임 변화
2) 주요 국가의 트위터 활용 PR활동 분석
3) 정책홍보와 트위터 활용 정책홍보
4) 현 정부기관의 트위터 기반 홍보활동 현황
■ 제3장 트위터 전문가 인터뷰 조사
1. 조사개요 및 인터뷰 문항 044
1) 조사개요
2) 인터뷰 참여자 특성 및 인터뷰 문항
2. 전문가 인터뷰 결과 046
1) 소셜미디어 정의
2) 트위터의 가치와 저널리즘 역량
3) 정부기관의 트위터 활용 소통시도에 대한 인식
4) 현 정부기관의 트위터 활용 문제점
5) 현 정부기관의 트위터 운영의 개선방안과 전망
6) 트위터 공간 내에서의 담론 형성 행동: Retweet 이유
■ 제4장 트위터 이용자 설문조사
1. 조사개요 및 응답자 특성 055
1) 조사개요
2) 응답자 특성
2. 설문지 구성 057
1) 트위터 일반현황
2) RT(신속성, 정보성, 흥미성, 협력성)에 대한 질문
3) 정부기관 트위터에 대한 호감도, 신뢰도, 친근성, 정보성 인식
3. 분석방법 058
4. 분석결과 059
1) 트위터 이용시간
2) 트위터 중-경이용자 집단별 팔로어(follower) 수 분석
3) 트위터 중-경이용자 집단별 팔로잉(following) 수 분석
4) 트위터 중-경이용자 집단별 RT(Retweet) 수 분석
5) 트위터 중-경이용자 집단별 정부 트위터에 대한 호감도 인식
6) 트위터 중-경이용자 집단별 정부 트위터에 대한 친근감 인식
7) 트위터 중-경이용자 집단별 정부 트위터에 대한 신뢰도 인식
8) 트위터 중-경이용자 집단별 정부 트위터에 대한 정보유용성 인식
9) RT요인(신속성, 정보성, 흥미성, 협력성) 분석
■ 제5장 결론 및 제언
1. 결론 068
2. 트위터 기반 정책홍보를 위한 제언 070
1) 조직 내부 차원
2) 조직 외부 차원: 트위터 기반 정부PR 실행 가이드라인
■ 참고문헌
■ 부록
-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 배포는 법적으로 "금지되어" 있습니다.
- 저작권 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하단의 “고객센터”를 이용해주세요.
- 기타는 저작물의 등록자가 정하는 사용 범위와 규정에 준합니다.
- 위 자료는 가 저작권을 관리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