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조직 내에서의 공적 소통 활성화 및 유대감 제고를 위한 철학적 고찰 : 하버마스의 현대성 이론과 호네트의 인정투쟁 이론을 중심으로
커뮤니케이션 이론 |
한국언론학회 |
45 pages|
2025.02.03|
파일형태 :
자료요약
이 글에서는 하버마스의 현대성 이론과 호네트의 인정투쟁 이론을 바탕으로 한국 언론의 권위적이며 폐쇄적인 조직 문화를 분석함으로써, 한국 언론조직 내에서 공적소통을 활성화하고 유대감을 제고시키기 위한 철학적 해결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이에 따라 연구자는 뉴스룸의 주요 의사 결정자들이 자기 주장의 권력을 자기 자신에 집중시킨 주체중심적 이성에서 벗어나 타자 존중의 상호주관성에 기반한 의사소통을 수립해야 하며, 이를 위해 언론공동체 구성원들의 개성적인 능력과 특수한 가치를 정당하게 평가하고 인정하는 인식의 전환을 꾀해야 한다고 강술한다. 더불어, 본고에서는 연대적 인정에 기반한 상호 존중의 의사소통을 언론 기구 내에서 실천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뉴스룸 중심부가 다양한 면대면 소통 공간을 조성하고, 혼종적인 구성원들의 참여를 확대하며, 도덕적 인식 제고를 위한 교육 수혜의 대상자로 스스로를 지목해 상정하는 노력을 병행해야 한다고 권고한다. 저자는 특히 엘리트 언론과 엘리트 언론인들이 ‘언론의 언론’으로 존재하고 기능하는 자신들의 상징적인 영향력에 걸맞게 언론 기구 내에서 공적인 의사소통이 활성화될 수 있도록 그 어떤 언론 기구 및 언론인보다 더욱 강한 도덕적 동기를 자신들에게 부과함으로써 한국 언론 조직 문화의 개선을 둘러싼 위로부터의 변혁을 주동해야 한다고 인식한다.
목차
1. 머리말
2. 본문
3. 결론
2. 본문
3. 결론
#하버마스#현대성 이론#의사소통적 이성#호네트#인정투쟁 이론#정동 담론#Habermas#theory of modernity#communicative reason#Honneth#theory of recognition struggle#affective discourse
저작권 안내 및 사용범위와 규정
-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 배포는 법적으로 "금지되어" 있습니다.
- 저작권 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하단의 “고객센터”를 이용해주세요.
- 기타는 저작물의 등록자가 정하는 사용 범위와 규정에 준합니다.
- 위 자료는 가 저작권을 관리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