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사에 대한 신뢰와 안심
한국언론학보 | 한국언론학회 | 32 pages| 2025.02.03| 파일형태 :
조회 5 다운로드 0
자료요약
신뢰란 대상에 대한 ‘신뢰할만함’에 대한 평가에 따라 달라지므로 언론 신뢰도 뉴스, 언론인, 언론사, 언론제도 등 각 대상에 따라 다르게 측정해야 한다는 문제의식으로부터 이 연구는 출발한다. 이 연구는 또한 언론사에 대한 신뢰를 안심으로부터 개념적으로 구분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언론 신뢰가 언론사의 편집의 자율성을 인정하면서 이용자 자신의 이념이나 의견과 다른 뉴스라도 일단 이용하겠다는 다짐과 관련이 있다면, 안심은 언론사의 논조나 보도 방향을 미리 예상할 수 있기에 편하게 활용할 수 있다는 생각에 접근하는 것과 가깝다고 보기 때문이다. 인터넷 패널에서 모집한 응답자 311명이 24개 언론사를 대상으로 신뢰와 안심을 평가한 자료를 이용해서, 언론사에 대한 신뢰와 안심이 경험적으로 구분가능한지, 그리고 언론사가 제공하는 뉴스 이용과 뉴스에 대한 품질평가를 비롯한 다른 변수들과 어떤 영향력 관계를 맺는지검토했다. 연구결과, 언론사 별 신뢰와 안심 간 구성개념 타당성을 확인하기 위한 모형을 구성하는 데 성공했지만, 그 모형 내에서 신뢰와 안심 간 상관관계는 다소 높다는 것을 확인했다. 언론사 별로 측정한 뉴스 이용시간과 뉴스 품질평가가 각각 신뢰와 안심에 별도로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도 발견했다. 덧붙여 이런 관계가 정치적 보수주의나 언론의 정파성 인식 등과 같은 변수들을 통제한 상태에서도 유지된다는 것을 발견했다. 이 연구는 언론사에 대한 신뢰와 안심 간 구분이 정파적 분화가 심화하는 한국 언론에 대해 갖는 함의를 검토해서 후속 연구를 위한 제안을 제시한다.
목차
1. 문제제기: 무엇에 대한 어떤 신뢰인가?
2. 안심과 신뢰의 기반
3. 연구 질문과 자료수집 전략
4. 연구방법과 기술통계
6. 결론과 논의
#news trust#media trust#assurance#trustworthiness#news quality#언론 신뢰#언론제도#신뢰와 안심#뉴스 품질평가#뉴스 이용#다수준분석
저작권 안내 및 사용범위와 규정
  •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 배포는 법적으로 "금지되어" 있습니다.
  • 저작권 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하단의 “고객센터”를 이용해주세요.
  • 기타는 저작물의 등록자가 정하는 사용 범위와 규정에 준합니다.
  • 위 자료는 가 저작권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자료 제공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