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5년 7월] 2025 상반기 디지털 미디어 & 마케팅 결산
- 2025 메조미디어 트렌드 리포트
- [플레이디] 2025 광고·마케팅 트렌드 전망 리포트
- [플레이디] [손해보험] 시장 변화에 기회 삼아 미래를 준비하는 손해보험사들의 생존 경쟁 시작
- [2025년 5월] MEDIA & MARKET ISSUE
- [나스미디어]2024년 11월 2025 디지털 미디어 & 마케팅 전망
- 2024 메조미디어 트렌드 리포트
- 2025년 2분기 인터넷 노출형광고 결산보고
- [Case Study] Internet_쌤소나이트_하이시에라 런칭 캠페인/일동제약_비오비타 아기모델 선발 캠페인
- 2025년 8월 매체력 평가 리포트
자료요약
멀티채널 소비자란 제품 구매의사결정과정에서 단일 채널이 아닌 다양한 채널을 이용하여 해결하는 소비자를 의미한다. 멀티채널 소비자의 경우 오프라인 매장에서 제품을 살펴본 후 실질적인 구매는 온라인 유통 채널을 활용하는 쇼루밍족이 대표적이다. 이러한 쇼루밍 현상은 인터넷, 스마트폰의 발달과 1인 가구 등과 같은 인구구조의 변화를 통해 더욱 활발히 일어나고 있다.
본 연구는 쇼루밍 이용속성에 대해 Bhattacherjee(2001)의 기대충족이론을 활용하여, 쇼루밍 이용속성(기대충족, 지각된 유용성)이 쇼루밍 태도(인지적, 정서적)와 지속적 쇼루밍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와 함께 쇼루밍 이용속성(기대충족, 지각된 유용성)이 쇼루밍 태도(인지적, 정서적)에 미치는 영향은 1인 가구여부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 분석하였다.
자료분석은 구조방정식모형을 활용하였으며,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쇼루밍 이용 속성(기대충족, 지각된 유용성)은 쇼루밍 태도(인지적, 정서적)에 긍정적인 영향을 유의하게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쇼루밍 태도(인지적, 정서적)는 지속적 쇼루밍 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유의하게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쇼루밍 이용 속성(기대충족, 지각된 유용성)이 쇼루밍 태도(인지적, 정서적)에 미치는 영향은 1인 가구의 경우 더 긍정적인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쇼루밍 이용 태도 형성의 경우 1인 가구의 영향을 고려한 오프라인, 온라인 매장의 마케팅 전략 개발을 강화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Multi-channel consumer is defined as a consumer who solves by using various channels rather than a single channel in the purchasing decision process for products. An example of multi-channel choice behavior is show-rooming. The Show-rooming tribe use online distribution channels to purchase products after looking at products in offline stores. This show-rooming phenomenon is taking place more actively through the development of the Internet environment and smart phones and the changes in the life cycle stage such as single-person households.
This study used Expectation-Confirmation Model(Bhattacherjee 2001) for show-rooming usage attributes. The effect of show-rooming usage attributes (expectation confirmation, perceived usefulness) on show-rooming attitude (cognitive, emotional) and continuance show-rooming intention was analyzed. In addition, it was analyzed whether the influence of show-rooming use attributes on show-rooming attitude depends on single-person household.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used for data analysis, and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we found that show-rooming usage attributes (expectation confirmation, perceived usefulness) had the significant and positive effect on show-rooming attitude (cognitive, emotional). Second, we found that show-rooming attitude (cognitive, emotional) had the significant and positive effect on continuance show-rooming intention. Third, the impact of show-rooming usage attributes (expectation satisfaction, perceived usefulness) on show-rooming attitude (cognitive, emotional) was more positive in singleperson households. Therefore, for making the positive attitude of using show-rooming,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development of marketing strategies for offline and online stores considering singleperson household.
본 연구는 쇼루밍 이용속성에 대해 Bhattacherjee(2001)의 기대충족이론을 활용하여, 쇼루밍 이용속성(기대충족, 지각된 유용성)이 쇼루밍 태도(인지적, 정서적)와 지속적 쇼루밍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와 함께 쇼루밍 이용속성(기대충족, 지각된 유용성)이 쇼루밍 태도(인지적, 정서적)에 미치는 영향은 1인 가구여부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 분석하였다.
자료분석은 구조방정식모형을 활용하였으며,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쇼루밍 이용 속성(기대충족, 지각된 유용성)은 쇼루밍 태도(인지적, 정서적)에 긍정적인 영향을 유의하게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쇼루밍 태도(인지적, 정서적)는 지속적 쇼루밍 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유의하게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쇼루밍 이용 속성(기대충족, 지각된 유용성)이 쇼루밍 태도(인지적, 정서적)에 미치는 영향은 1인 가구의 경우 더 긍정적인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쇼루밍 이용 태도 형성의 경우 1인 가구의 영향을 고려한 오프라인, 온라인 매장의 마케팅 전략 개발을 강화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Multi-channel consumer is defined as a consumer who solves by using various channels rather than a single channel in the purchasing decision process for products. An example of multi-channel choice behavior is show-rooming. The Show-rooming tribe use online distribution channels to purchase products after looking at products in offline stores. This show-rooming phenomenon is taking place more actively through the development of the Internet environment and smart phones and the changes in the life cycle stage such as single-person households.
This study used Expectation-Confirmation Model(Bhattacherjee 2001) for show-rooming usage attributes. The effect of show-rooming usage attributes (expectation confirmation, perceived usefulness) on show-rooming attitude (cognitive, emotional) and continuance show-rooming intention was analyzed. In addition, it was analyzed whether the influence of show-rooming use attributes on show-rooming attitude depends on single-person household.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used for data analysis, and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we found that show-rooming usage attributes (expectation confirmation, perceived usefulness) had the significant and positive effect on show-rooming attitude (cognitive, emotional). Second, we found that show-rooming attitude (cognitive, emotional) had the significant and positive effect on continuance show-rooming intention. Third, the impact of show-rooming usage attributes (expectation satisfaction, perceived usefulness) on show-rooming attitude (cognitive, emotional) was more positive in singleperson households. Therefore, for making the positive attitude of using show-rooming,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development of marketing strategies for offline and online stores considering singleperson household.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가설설정
Ⅲ. 연구모형과 조사설계
Ⅳ. 연구자료와 실증분석
Ⅴ. 결론
참고문헌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가설설정
Ⅲ. 연구모형과 조사설계
Ⅳ. 연구자료와 실증분석
Ⅴ. 결론
참고문헌
#쇼루밍
#이용속성
#기대충족
#지각된 유용성
#태도
#인지적
#정서적
#지속적 쇼루밍 의도
#1인 가구
#Show-Rooming
#Usage Attributes
#Expectation Confirmation
#Perceived Usefulness
#Attitude
#Cognitive
#Affective
#Continuance Show-Rooming Intention
#Single-Person Househol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