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디어&마켓 리포트_25년 8월
 - [나스미디어]2024년 11월 2025 디지털 미디어 & 마케팅 전망
 - 2022 주류 소비 트렌드 리포트
 - 2024년 6월 미디어 이슈 리포트
 - [인크로스]2025년 1월 미디어 이슈 리포트
 - 기아차 SOUL의 혁신적인 제품전략 -소비자의 soul을 움직이다-
 - [2025년 7월] 2025 상반기 디지털 미디어 & 마케팅 결산
 - [플레이디] 2025 광고·마케팅 트렌드 전망 리포트
 - [메조미디어] 2024 업종 분석 리포트 02. 화장품
 - [나스미디어] 2024년 11월 Meta 협력광고, 이커머스 시장의 게임 체인저
 
                    심리적 거리와 기부 참여 방식에 따른 기부 광고 효과에 관한 연구 : 분노와 불안의 감정을 중심으로 
                
                    
                자료요약
                    
                    
                    본 연구는 기부 참여 방식과 심리적 거리의 상호작용 효과가 감정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 가를 실험 연구를 통해 검증하였다. 연구 1은 도서 기부 캠페인을 주제로 광고를 제작하 여 감정에 따라 기부 참여 방식과 시간적 거리의 상호작용 효과가 달라진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연구 2는 헌옷 기부 캠페인을 주제로 광고를 제작하여 감정에 따라 기부 참여 방식과 공간적 거 리의 상호작용 효과가 달라진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분노의 감정을 느낀 사람 들은 먼 미래의 사건-어려운 참여 방식의 메시지가 강조된 광고에 노출되었을 때 광고 태도가 높게 나타났고, 불안의 감정을 느낀 사람들은 가까운 미래의 사건-쉬운 참여 방식의 메시지가 강조된 광고에 노출되었을 때 광고 태도가 높았다. 둘째, 분노의 감정을 느낀 사람들은 먼 지역 의 사건-어려운 참여 방식을 제시한 광고에 노출되었을 때 기부참여의도가 가장 높았고, 불안의 감정을 느낀 사람들은 가까운 지역의 사건-쉬운 참여 방식을 제시한 광고에 노출되었을 때 기부 참여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캠페인 실무자와 마케터를 위한 연구 의 함의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author conducts two studies to investigate how fear and anger of people respond to the charity advertising that appeals to either near-easy or distance-difficult. In Study 1, respondents were exposed to a message about book donation. In Study 2, they were exposed to a message about clothes donation. Study 1, conducted in context of temporal distance, shows that anger participants more favorably evaluated charity advertising messages emphasizing distance-difficult rather than near-easy, whereas fear participants more positively evaluated messages emphasizing near-easy rather than distance-difficult. Study 2, conducted in context of spatial distance, anger participants more likely to donate when charity advertising highlights distance-difficult rather than near-easy appeals, whereas fear participants more likely to donate when charity advertising highlights near-easy rather than distance-difficult appeals. Implications for practitioners and marketers are discussed.
                The author conducts two studies to investigate how fear and anger of people respond to the charity advertising that appeals to either near-easy or distance-difficult. In Study 1, respondents were exposed to a message about book donation. In Study 2, they were exposed to a message about clothes donation. Study 1, conducted in context of temporal distance, shows that anger participants more favorably evaluated charity advertising messages emphasizing distance-difficult rather than near-easy, whereas fear participants more positively evaluated messages emphasizing near-easy rather than distance-difficult. Study 2, conducted in context of spatial distance, anger participants more likely to donate when charity advertising highlights distance-difficult rather than near-easy appeals, whereas fear participants more likely to donate when charity advertising highlights near-easy rather than distance-difficult appeals. Implications for practitioners and marketers are discussed.
목차
                    
                    
                    요약
1. 서론
2. 이론적 배경 및 연구의 가설
1) 기부 캠페인의 설득 효과 연구
2) 감정에 따른 기부 캠페인 참여 방식의 차이
3) 심리적 거리에 따른 기부 캠페인 참여방식의 차이
3. 연구 1: 시간적 거리
1) 실험 참가자와 실험 절차
2) 실험 자극물
3) 측정도구들
4) 실험 결과 및 논의
4. 연구 2: 공간적 거리
1) 실험 참가자와 실험 절차
2) 실험 자극물
3) 측정도구들
4) 실험 결과 및 논의
5. 결론 및 토론
참고문헌
Abstract
                1. 서론
2. 이론적 배경 및 연구의 가설
1) 기부 캠페인의 설득 효과 연구
2) 감정에 따른 기부 캠페인 참여 방식의 차이
3) 심리적 거리에 따른 기부 캠페인 참여방식의 차이
3. 연구 1: 시간적 거리
1) 실험 참가자와 실험 절차
2) 실험 자극물
3) 측정도구들
4) 실험 결과 및 논의
4. 연구 2: 공간적 거리
1) 실험 참가자와 실험 절차
2) 실험 자극물
3) 측정도구들
4) 실험 결과 및 논의
5. 결론 및 토론
참고문헌
Abstract
                    
                    
                        
                        #분노
                    
                        
                         #불안
                    
                        
                         #기부 캠페인
                    
                        
                         #심리적 거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