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구를 위해 종은 울리나? - ‘중국 때리기’ 담론을 통해서 본 한국의 미국 사대주의
자료요약
국제사회는 약육강식의 법칙이 적용되는 무대다. 국력에 따른 차별과 부당한 대우는 당연시된다. 각 국가는 이에 자국의 안전, 번영과 명예를 지키기 위한 무한경쟁에 나선다. 특히 한국은 일상적인 전쟁의 위협, 국제사회에 대한 지나친 의존성 및 주변 강대국의 견제와 같은 악조건을 갖추고 있다. 냉정한 현실인식을 기초로 합리적이고 성숙한 대처 능력이 절대적으로 필요한 상황이다. 그러나 한국 사회의 현실 인식은 미국이라는 거인의 관점에 매몰되어 있다. 한반도를 전쟁의 참화 속으로 몰아넣었던 17세기 조선시대와 닮은 큰 나라에 대한 무조건적인 숭배와 맹목적인 추종이라는 사대주의(事大主義)가 팽배하다. 이 연구는 중국을 대상으로 한 비판적인 담론을 통해 이 문제를 드러내는 한편, 국가이익을 위한 보다 성찰적이고 주체적인 실천 방안을 고민하고자 했다.
연구를 위해 우선 한국, 미국과 중국을 둘러싼 복합적인 이해관계를 분석했다. 한반도를 둘러싼 지형을 안보, 경제, 지식 및 명예 차원으로 구분했고 주요 이슈와 쟁점을 통해 국가이익의 변화를 추적했다. 그다음, 1980년대 미국에서 유행한 ‘일본 때리기’와 유사한 ‘중국 때리기’가 있다는 가정하에 관련 담론을 ‘논리적, 감성적 및 윤리적’ 차원으로 구분해 살폈다. 구체적으로, 중국을 비판하는 논리적 근거는 무엇이며, 이를 정당화시키기 위해 동원된 감정적 표현과 윤리적 평가는 무엇인지를 분석했다.
국제사회에서는 영원한 적도 우방도 없다. 혈맹으로 시작된 한미관계 역시 불가피하게 변화를 겪고 있으며 이해관계의 지형을 놓칠 때 자칫 돌이킬 수 없는 오류를 범한다. 한반도의 불행했던 역사는 거듭 이 가능성을 증명했다. 본 연구를 통해 미국에 대한 사대주의가 한국 사회에 끼칠 수 있는 부정적 영향을 성찰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될 수 있기를 희망한다.
Survival of fittest is the rule of thumb in the international society. Neither cooperation nor competition is avoidable. Being a matured and objective nation-state able to make fully sense of the incoming challenges is far from luxury. South Korea though fails in comprehending the reality of national interests partly because of intellectual dependence upon U.S. This paper attempts to show the evidence of such a tendency as intellectual hegemony by employing the case of ‘China Bashing’.
To examine political contexts surrounding South Korea, U.S. and China was the first step. After analysing historical shift of interests, then, it pays attention to news articles believed to be critical against China. While dividing related discourses into logical, emotional and ethical dimension, it asks how Korean media represent China as a potential enemy on what bases, with what expressions and resulting in what kinds of moral implications.
The landscape of national interests are not immune from change. Neither U.S. nor China will be friend or foe forever. It is high time for South Korea to look aggressively after totality of truth less visible in the eye of U.S. Hopefully, this paper can be a starting point of casing doubts on a wide range of conventional wisdoms which favor the status quo led by U.S. historic bloc.
연구를 위해 우선 한국, 미국과 중국을 둘러싼 복합적인 이해관계를 분석했다. 한반도를 둘러싼 지형을 안보, 경제, 지식 및 명예 차원으로 구분했고 주요 이슈와 쟁점을 통해 국가이익의 변화를 추적했다. 그다음, 1980년대 미국에서 유행한 ‘일본 때리기’와 유사한 ‘중국 때리기’가 있다는 가정하에 관련 담론을 ‘논리적, 감성적 및 윤리적’ 차원으로 구분해 살폈다. 구체적으로, 중국을 비판하는 논리적 근거는 무엇이며, 이를 정당화시키기 위해 동원된 감정적 표현과 윤리적 평가는 무엇인지를 분석했다.
국제사회에서는 영원한 적도 우방도 없다. 혈맹으로 시작된 한미관계 역시 불가피하게 변화를 겪고 있으며 이해관계의 지형을 놓칠 때 자칫 돌이킬 수 없는 오류를 범한다. 한반도의 불행했던 역사는 거듭 이 가능성을 증명했다. 본 연구를 통해 미국에 대한 사대주의가 한국 사회에 끼칠 수 있는 부정적 영향을 성찰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될 수 있기를 희망한다.
Survival of fittest is the rule of thumb in the international society. Neither cooperation nor competition is avoidable. Being a matured and objective nation-state able to make fully sense of the incoming challenges is far from luxury. South Korea though fails in comprehending the reality of national interests partly because of intellectual dependence upon U.S. This paper attempts to show the evidence of such a tendency as intellectual hegemony by employing the case of ‘China Bashing’.
To examine political contexts surrounding South Korea, U.S. and China was the first step. After analysing historical shift of interests, then, it pays attention to news articles believed to be critical against China. While dividing related discourses into logical, emotional and ethical dimension, it asks how Korean media represent China as a potential enemy on what bases, with what expressions and resulting in what kinds of moral implications.
The landscape of national interests are not immune from change. Neither U.S. nor China will be friend or foe forever. It is high time for South Korea to look aggressively after totality of truth less visible in the eye of U.S. Hopefully, this paper can be a starting point of casing doubts on a wide range of conventional wisdoms which favor the status quo led by U.S. historic bloc.
목차
1. 문제제기 : 한국 사회의 이율배반
2. 이론적 논의 : 집단정체성과 대외정책
3. 연구문제, 자료수집 및 연구방법
4. 분석결과 및 해석
5. 요약 및 함의
참고문헌
Abstract
2. 이론적 논의 : 집단정체성과 대외정책
3. 연구문제, 자료수집 및 연구방법
4. 분석결과 및 해석
5. 요약 및 함의
참고문헌
Abstract
패권
연성권력
국가이익
담론
중국
사대주의
국제질서
Hegemony
Soft power
National interest
Discourse
China
Flunkyism
International order
저작권 안내 및 사용범위와 규정
-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 배포는 법적으로 "금지되어" 있습니다.
- 저작권 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하단의 “고객센터”를 이용해주세요.
- 기타는 저작물의 등록자가 정하는 사용 범위와 규정에 준합니다.
- 위 자료는 가 저작권을 관리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