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V홈쇼핑의 스토리텔링 메시지가 상황적 관여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감정이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광고학회 | 한국광고학회 | 30 pages| 2015.10.22| 파일형태 :
조회 954 다운로드 0
자료요약
소비자의 긍정적인 감정반응 및 태도변화를 일으키기 위한 쇼호스트의 역할이 강조되면서 TV홈쇼핑 메시지의 스토리텔링 기법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TV홈쇼핑 스토리텔링 메시지의 효과를 메시지 유형(드라마식/비넷식)에 따른 상황적 관여도의 차이와 감정이입, 구매의도로 이어지는 인과관계를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총 160명의 응답자를 4개의 집단(드라마/비넷식 x 이성/감성제품)에 무작위 할당하여 실시한 실험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쇼호스트의 스토리텔링 메시지 유형에 따른 시청자의 상황적 관여도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성, 감성 등 제품유형과는 상관없이 모두 드라마식 메시지가 비넷식 메시지에 비하여 높은 상황적 관여도를 유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상황적 관여도는 메시지에 대한 감정이입에 영향을 주고, 이어서 구메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상황적 관여도는 감정이입의 매개역할을 통하여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TV홈쇼핑의 스토리텔링 메시지는 시청자의 상황적 관여도와 감정이입에 영향을 미쳐 구매의도를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실무적으로는 TV홈쇼핑 제작자 및 쇼호스트들에게 스토리텔링 메시지 제작에 필요한 유용한 실무적 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이론적으로는 스토리텔링 메시지 유형 - 상황적 관여도 - 감정이입 - 구매의도로 이어지는 TV홈쇼핑 메시지에 대한 소비자의 반응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이를 실증적으로 검증함으로써 관련이론 정립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목차
1. 연구배경 및 목적
2. 이론적 배경
1) TV홈쇼핑의 개념, 특성, 및 소비자
2) 쇼호스트의 자질과 스토리텔링 능력
3) 스토리텔링의 개념적 정의 및 구성
4) 스토리텔링 광고의 유형 및 효과
5) 상황적 관여도와 충동구매
6) 스토리텔링과 감정이입
3. 연구가설
1) 스토리텔링 유형에 따른 상황적 관여도의 차이
2) 상황적 관여도, 감정이입과 구매의도
4. 연구방법
1) 자료수집 및 표본
2) 실험상품 및 자극물
3) 실험광고물의 조작점검
4) 변인의 측정과 조작적 정의
5. 연구결과
1) 응답자 특성
2) 측정항목의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
3) 가설검증
6.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부록> 실험광고물
Abstract
TV home shopping storytelling situational involvement empathy TV홈쇼핑 스토리텔링 드라마/비넷 상황적 관여도 감정이입 구매의도
저작권 안내 및 사용범위와 규정
  •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 배포는 법적으로 "금지되어" 있습니다.
  • 저작권 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하단의 “고객센터”를 이용해주세요.
  • 기타는 저작물의 등록자가 정하는 사용 범위와 규정에 준합니다.
  • 위 자료는 한국광고학회 가 저작권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자료 제공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