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스 커뮤니케이션 캠페인의 제3자 효과에 관한 연구
자료요약
본 연구는 비만예방 캠페인을 통하여 최근 그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는 헬스 커뮤니케이션 캠페인의 제3자 효과에 관해서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캠페인 메시지를 접촉한 수용자에게 있어서 3자 지각의 존재 여부와 메시지 위협수준과 수용자의 관여도에 따른 3자 지각의 차이, 3자 지각이 비만과 관련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캠페인 메시지를 접촉한 수용자에게 메시지가 자기 자신보다 다른 사람들에게 더 큰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지각하는 3자 지각이 발견되었다. 메시지 위협수준에 따른 3자 지각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낮은 위협수준의 메시지를 접촉한 수용자에 비하여 높은 위협수준의 메시지를 접촉한 수용자에게서 강한 3자 지각이 나타났으며, 비만에 대한 관여도가 높은 수용자에 비하여 비만에 대한 관여도가 낮은 수용자에
게서 강한 3자 지각이 나타났다.
3자 지각이비만의 위험에 대한 인식과 비만예방 캠페인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한 결과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부분에서는 연구의 학문적, 실무적 함의를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캠페인 메시지를 접촉한 수용자에게 있어서 3자 지각의 존재 여부와 메시지 위협수준과 수용자의 관여도에 따른 3자 지각의 차이, 3자 지각이 비만과 관련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캠페인 메시지를 접촉한 수용자에게 메시지가 자기 자신보다 다른 사람들에게 더 큰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지각하는 3자 지각이 발견되었다. 메시지 위협수준에 따른 3자 지각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낮은 위협수준의 메시지를 접촉한 수용자에 비하여 높은 위협수준의 메시지를 접촉한 수용자에게서 강한 3자 지각이 나타났으며, 비만에 대한 관여도가 높은 수용자에 비하여 비만에 대한 관여도가 낮은 수용자에
게서 강한 3자 지각이 나타났다.
3자 지각이비만의 위험에 대한 인식과 비만예방 캠페인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한 결과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부분에서는 연구의 학문적, 실무적 함의를 살펴보았다.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1) 헬스 커뮤니케이션과 비만예방 캠페인
2) 제3자 효과
(1) 제3자 효과의 개념
(2) 메시지 성격과 제3자 지각
(3) 관여도와 제3자 지각
(4) 제3자 지각이 태도 및 행동에 미치는 영향
3) 위협소구와 위협수준
3. 연구가설 및 연구문제
1) 헬스 커뮤니케이션 캠페인과 제3자 지각
2) 헬스 커뮤니케이션 캠페인에 있어서 메시지의 위협수준과 제3자 지각
3) 헬스 커뮤니케이션 캠페인에 있어서 질병에 대한 관여도와 제3자 지각
4) 헬스 커뮤니케이션 캠페인의 제3자 지각에 있어서 질병에 대한 관여도와 메시지 위협수준의 상호작용 효과
5) 헬스 커뮤니케이션 캠페인에 있어서 제3자 지각이 태도에 미치는 영향
4. 연구방법
1) 사전조사
2) 실험처치 및 자료수집
3) 변인의 측정
(1) 관여도
(2) 제3자 지각
(3) 태도적 요소
5. 연구결과
1) 제3자 지각 존재 검증
2) 메시지의 위협수준에 따른 제3자 지각
3) 관여도에 따른 제3자 지각
4) 관여도와 메시지 위협수준의 상호작용효과
5) 제3자 지각이 태도에 미치는 영향
6.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2. 이론적 배경
1) 헬스 커뮤니케이션과 비만예방 캠페인
2) 제3자 효과
(1) 제3자 효과의 개념
(2) 메시지 성격과 제3자 지각
(3) 관여도와 제3자 지각
(4) 제3자 지각이 태도 및 행동에 미치는 영향
3) 위협소구와 위협수준
3. 연구가설 및 연구문제
1) 헬스 커뮤니케이션 캠페인과 제3자 지각
2) 헬스 커뮤니케이션 캠페인에 있어서 메시지의 위협수준과 제3자 지각
3) 헬스 커뮤니케이션 캠페인에 있어서 질병에 대한 관여도와 제3자 지각
4) 헬스 커뮤니케이션 캠페인의 제3자 지각에 있어서 질병에 대한 관여도와 메시지 위협수준의 상호작용 효과
5) 헬스 커뮤니케이션 캠페인에 있어서 제3자 지각이 태도에 미치는 영향
4. 연구방법
1) 사전조사
2) 실험처치 및 자료수집
3) 변인의 측정
(1) 관여도
(2) 제3자 지각
(3) 태도적 요소
5. 연구결과
1) 제3자 지각 존재 검증
2) 메시지의 위협수준에 따른 제3자 지각
3) 관여도에 따른 제3자 지각
4) 관여도와 메시지 위협수준의 상호작용효과
5) 제3자 지각이 태도에 미치는 영향
6.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제3자 효과
헬스 커뮤니케이션
비만예방 캠페인
위협수준
관여도
저작권 안내 및 사용범위와 규정
-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 배포는 법적으로 "금지되어" 있습니다.
- 저작권 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하단의 “고객센터”를 이용해주세요.
- 기타는 저작물의 등록자가 정하는 사용 범위와 규정에 준합니다.
- 위 자료는 한국커뮤니케이션학회 가 저작권을 관리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