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제노출광고 시간지각이 소비자 반응에 미치는 영향 : 지불공정성과 심리적 반발을 중심으로
광고학연구 | 한국광고학회 | 21 pages| 2025.01.15| 파일형태 :
조회 79 다운로드 0
자료요약
본 연구는 강제노출 광고 시청 시간이 콘텐츠와 플랫폼 평가에 미치는 영향을 지불 공정성 과 심리적 반발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동영상 콘텐츠를 시청하기 전 강제로 노출되는 광고는 소비자에게 심리적 반발을 일으킬 수 있지만, 이를 콘텐츠 소비를 위한 지불 대가로 인식 하는 경우도 존재한다. 이에 따라, 강제노출 광고 시청 시간을 소비자가 얼마나 공정한 지불로 느끼는지가 콘텐츠와 플랫폼 평가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연구 결과, 강제노출 광고 시간이 길게 지각될수록 심리적 반발이 커지고 지불 공정성은 낮아진다. 이는 콘텐츠와 플랫폼에 대한 부정 적인 평가로 이어졌다. 반면, 광고 시간이 짧게 지각될 때는 공정한 지불 대가로 인식되어 콘텐 츠와 플랫폼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를 유도할 수 있었다. 또한, 연령에 따라 소비자 반응에 차이 가 있었다. 연령이 낮을수록 지불 공정성이 더 중요한 역할을 했지만, 연령이 높아질수록 시간이 길게 지각됨으로써 심리적 반발감이 미치는 영향이 더 크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강제노출 광고 의 효과적인 운영 및 연령별 맞춤 전략 수립에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This study examined the impact of forced-exposure advertising viewing time on the evaluation of content and platforms, focusing on perceived fairness and psychological reactance. Forced-exposure advertisements shown before viewing video content can trigger psychological reactance in consumers, but in some cases, they may be perceived as a form of payment for consuming content. Therefore, how fairly consumers perceive the viewing time of forced-exposure advertisements plays a crucial role in their evaluation of content and platforms. The results showed that when the advertisement time was perceived as long, psychological reactance increased, perceived fairness decreased, and ultimately led to negative evaluations of both content and platforms. On the other hand, when the advertisement time was perceived as short, it was regarded as a fair cost, leading to positive evaluations of the content and platforms. The study also confirmed that perceptions and responses varied by age. For younger consumers, shorter perceived time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perceived fairness, while for older consumers, the longer the perceived time, the greater the influence of psychological reactance. This study provides valuable insights for the effective management of forced-exposure advertising and the development of tailored strategies by age group.
목차
요약
1. 서론
2. 이론적 배경
1) 강제노출 광고에 대한 소비자의 반응: 심리적 반발감
2) 강제노출 광고에 대한 소비자의 반응: 지불공정성(Perceived Fairness)지각
3) 자원으로서의 시간과 소비자 행동
4) 연령에 따른 지불공정성 지각과 심리적 반발의 차이
3. 연구 방법
4. 연구 결과
5.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저작권 안내 및 사용범위와 규정
  •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 배포는 법적으로 "금지되어" 있습니다.
  • 저작권 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하단의 “고객센터”를 이용해주세요.
  • 기타는 저작물의 등록자가 정하는 사용 범위와 규정에 준합니다.
  • 위 자료는 한국광고학회 가 저작권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자료 제공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