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디어&마켓 리포트_25년 8월
- [나스미디어]2024년 11월 2025 디지털 미디어 & 마케팅 전망
- 2022 주류 소비 트렌드 리포트
- 2024년 6월 미디어 이슈 리포트
- [인크로스]2025년 1월 미디어 이슈 리포트
- 기아차 SOUL의 혁신적인 제품전략 -소비자의 soul을 움직이다-
- [2025년 7월] 2025 상반기 디지털 미디어 & 마케팅 결산
- [플레이디] 2025 광고·마케팅 트렌드 전망 리포트
- [메조미디어] 2024 업종 분석 리포트 02. 화장품
- [나스미디어] 2024년 11월 Meta 협력광고, 이커머스 시장의 게임 체인저
모바일 배너 광고의 메시지 표현 유형과 수사적 표현 방식에 따른 광고 효과 연구
한국광고홍보학보 |
한국광고홍보학회 |
27 pages|
2016.10.17|
파일형태 :
자료요약
본 연구는 모바일 배너 광고의 메시지 표현 유형과 수사적 표현이 광고 태도, 브랜드 태도, 구매 의도에 미치는 효과에 관하여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모바일배너 광고 표현 유형은 광고 태도, 브랜드 태도, 구매 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모바일 배너 광고 표현 방식은 광고 태도, 브랜드 태도, 구매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셋째, 모바일 배너 광고의 표현 방식과 표현 유형에 따른 상호작용은 광고 태도, 브랜드 태도, 구매 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설에서 예상한 대로 이미지 위주의 모바일 배너 광고에서는 수사적 표현 방식을 활용한 광고가 더 효과적으로 나타났으며, 반대로 텍스트 위주의 모바일 배너 광고에서는 명시적 표현 방식을 활용한 광고가 광고 태도, 브랜드 태도, 구매 의도에서 더 높은 효과를 보여 주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the types of message (image vs. text) and rhetorical expression(explicit vs. implicit) in mobile banner advertising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advertising response variables such as attitude toward the ad, brand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types of message as well as rhetorical expression in mobile banner advertising had no significant impact on advertising response variables. On the other hand, the interaction between types of message and rhetorical expression was found to be significant. More specifically, the implicit rhetorical expression appeared to be more effective than explicit one in image oriented ads whereas the explicit rhetorical expression appeared to be more effective than implicit one in text oriented ad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the types of message (image vs. text) and rhetorical expression(explicit vs. implicit) in mobile banner advertising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advertising response variables such as attitude toward the ad, brand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types of message as well as rhetorical expression in mobile banner advertising had no significant impact on advertising response variables. On the other hand, the interaction between types of message and rhetorical expression was found to be significant. More specifically, the implicit rhetorical expression appeared to be more effective than explicit one in image oriented ads whereas the explicit rhetorical expression appeared to be more effective than implicit one in text oriented ads.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가설
4. 연구방법
5. 분석결과
6. 결론 및 요약
참고문헌
Abstract
2. 이론적 배경
3. 연구가설
4. 연구방법
5. 분석결과
6. 결론 및 요약
참고문헌
Abstract
모바일
배너 광고
광고 효과
수사적
표현 유형
이미지
텍스트
mobile
banner ad
ad effect
rhetorical
expression type
image
text
저작권 안내 및 사용범위와 규정
-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 배포는 법적으로 "금지되어" 있습니다.
- 저작권 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하단의 “고객센터”를 이용해주세요.
- 기타는 저작물의 등록자가 정하는 사용 범위와 규정에 준합니다.
- 위 자료는 가 저작권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