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제목 저자 출처 학회/발행처
미디어 문화사의 주체, 대중 찾기 | 2018.07.09
광고이론 | 한국언론학회 (한국언론학회)
본 논문은 최근 미디어를 통해 역사 속 대중들의 모습들을 발견하고자 하는 미디어문화사 작업이 여전히 ‘위로부터의 역사’에 머물고 있는 현실을 지적하고, 역사학자이자 문화이론가인 미셀드 세르토(Michel de Certeau)의 작업이 이상의 한계를 극복하는데 어떤 이론적 방법론적 함의를 갖는지 제시하고자 했다. 특히 본 논문은 푸코와 부르디외의 작업에 대한 비판을 통해 텍스트(언어)와 행위(몸)라는 이분법적 경계를 무화시키는 대중들의 실천성에 주목했던 세르토의 작업을 통해 대중들이 어떻게 역사의 타자가 아닌 주체가 될 수 있는지 보여주고자 했다. 텍스트(언어) 속에서 다층적인 행위의 공간을, 행위(몸) 속에서 다면적인 언어적 수사를 발견해 내는 세르토의 작업은 대중들이 이들 경계를 서성이고 침투하는 실천을 통해 어떻게 그들을 배제해 온 ‘일상의 경계를 허무는 주체’가 될 수 있는지 보여주는 섬세한 작업이다. 이상 세르토의 작업은 타자들의 역사를 어떻게 발굴할 것인가, 나아가 이들을 어떻게 역사의 주체로 위치지울 것인가를 고민해 온 미디어 문화사들에게 새로운 이론적 방법론적 일깨움을 제공할 것이다.    This study points out that the studies of Media Cultural History have a limitation that they have only examined "the history from the top," and searches for theoretical and methodological implications from the work of a historian and cultural theorist, Michel de Certeau in order to overcome such limitation. This study aims to show that the masses are not the Other but the subjects of history by exploring de Certeau"s work which focuses on the masses" practices breaking the dichotomy between text (language) and act (body), which is detected in the works of Foucault and Bourdieu. The work of de Certeau, which discovers a space of multi-layered behaviors from text (language) as well as multi-faceted rhetorics from action (body), is a sophisticated Art of Theory, which is able to reveal that the masses are the subjects who can break the boundaries in their everyday lives, which have excluded and suppressed them, through their practices hovering around and penetrating through the boundaries. To this extent, the work of de Certeau, which rejects drawing the boundary by discovering textuality of act and activity of text, provides the studies of Media Cultural History with epistemological sources to think of how to discover the history of the Other, and how to locate the masses as the subjects of history.
포스트휴먼 담론의 사유와 미학적-윤리적 역량 연구 | 2018.07.09
광고이론 | 한국언론학회 (한국언론학회)
새로운 지능정보 사회의 인간의 위상과 역할에 대한 성찰은 인간중심주의를 넘어서는 포스트 휴먼의 사유들과 기술문화에 대한 성찰, 그리고 이용자들의 디지털역량을 정립하기 위해 중요한 작업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인간과 기계의 관계 설정을 중심으로 포스트휴먼의 사유들을 살펴보고 이용자들의 디지털역량을 정립하기 위한 문제설정과 방향성을 도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시대의 도래와 함께 관심이 고조되고 있는 포스트휴먼 담론의 이론적 지형을 검토하고, 기술철학과 인간-기계의 관계에 대한 문제설정과 논점들을 질베르 시몽동(G. Simondon)과 질 들뢰즈(G. Deleuze), 그리고 펠릭스 과타리(F. Guattari) 등의 사유들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이러한 인간-기계의 관계설정에 근거하여 포스트휴먼 담론의 지형과 미학적-윤리적 역량의 필요성을 탐구하고자 한다. 이 연구는 포스트휴먼의 주체성 연구와 미디어교육적 측면에서 이용자의 존재론적 특성과 역량의 발명을 위한 실천적 방안들을 모색하는 데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의의가 있다.    Reflections on the status and role of human beings in the new intelligence information society are important tasks to establish the digital media competence of the users by reflecting on the reasons of the posthumans and the technical culture beyond the human centrism.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ideas of post-humans and derive the problem setting and direction to establish users" digital media competence, focusing on establishing relationships between humans and machines. To do this, the study examines the theoretical topography of the Post-Humanism that is growing in interest with the advent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explore theories such as G. Simondon, G. Deleuze, and F. Guattari to explore the issues of technology philosophy and problematik for human-machine relationships. Based on this, this study suggests an opinion on media-educational application methods and components of capabilities to strengthen the subjectivity of post human beings and invent digital media competence.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providing a basic source of practical data for researching the identity of post-human beings and for exploring practical methods for inventing user"s existential characteristics and capabilities in media-educational aspects.
위험 루머에 대한 10년간의 언론보도 내용분석 | 2018.07.09
광고이론 | 한국언론학회 (한국언론학회)
본 연구에서는 국가적 위험 상황에서 언론에 보도된 위험 루머와 정부의 루머 대응 전략을 검토하고자 커뮤니케이션 모델인 SMCRE 모델을 바탕으로 선행연구를 정리하고, 2008년 부터 2017년까지 10년간 국내 일간지에 보도된 위험 루머의 특성과 대응전략을 체계적으로 살펴보았다. 전체 기사 1,188건을 분석한 결과, 위험 루머 주제는 건강 위험 주제가 가장 많이 보도되었다. 루머 정보원(S)으로는 일반 시민이 가장 많이 언급되었으며, 루머 유형(M)은 유령형 루머, 부정적 루머, 미래적 루머 그리고 우연히 발생된 루머가 많이 언급되었다. 루머 품질은 이성적 루머와 상상 루머가 비슷하게 나타났다. 루머 확산 채널(C)은 온라인 미디어가 많이 언급되었다. 수용자(R)의 정서적 반응으로는 불안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루머 효과(E)는 정치적 효과와 사회적 효과가 많이 언급되었다. 한편, 정부의 루머 대응 전략은 공격자 공격 전략, 반박 전략, 부인 전략이 주로 나타났으며, 루머의 위험 주제와 특성에 따라 다르게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국가적 위험 상황에서 확산되는 루머의 특성을 파악하고 어떻게 정부가 대응해 왔는지를 탐구하여 차후 효과적인 정부 대응에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An effective rumor response strategy is crucial for enabling the government to control the spread of rumors during national risks. However, there is a lack of systematic and comprehensive research about what types of risk-related rumors have been available and which rumor response strategies have been employed. Based on the Source-Message-Channel-Receiver-Effect (SMCRE) model, the current study, first, reviews the literature on rumors and, second, analyzes the contents of 10 years of media coverage on risk rumors. Analysis of 1,188 news articles yielded the following five results. (1) Health-related risks were most prevalent. (2) The most prevalent Source of rumor was lay people. (3) The most available types of rumor Messages were bogies, negative, future-oriented, accidental, rational and imaginary. (4) The most prevalent Channel of rumor was online media. (5) The most prevalent Receiver response was uneasy emotion. (6) The most prevalent Effects were political and social. Meanwhile, the most prevalent rumor response strategies were ‘Attacker-the-accuser’, ‘Refutation’, and ‘Denial’, and the use of each type of response varied across the characteristics of risk-related rumors.
한국 다문화 TV 프로그램에서의 이주민·외국인 재현 | 2018.07.09
광고이론 | 한국언론학회 (한국언론학회)
본 연구는 국내 텔레비전의 다문화 프로그램을 종합적으로 양적 분석하여 그동안 개별 프로그램 분석에 머물렀던 다문화 프로그램 연구의 범위를 확장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2003년부터 2016년까지의 다문화 프로그램을 내용분석 해 이주민 및 외국인의 인종과 이주 유형별 재현율, 장르에 따른 집단별 재현 정도의 차이, 그리고 시기별 변화를 분석했다. 실제 인구 대비 프로그램 내 재현 비율인 재현율 분석 결과 백인의 재현율이 유색인보다 높았고, 이주 유형별로는 전문인력 이주노동자와 외국인 유학생의 재현율이 매우 높은 반면 단순기능인력 이주노동자는 매우 낮았다. 장르별 재현 빈도 차이의 경우, 교양 프로그램에서 유색인의 재현 빈도가 백인보다 높은 데 비해 오락 프로그램에서는 인종 간 차이가 없었다. 이주 유형별로는 교양 프로그램에는 결혼이민자와 다문화가족 자녀가, 오락 프로그램에는 전문인력 이주노동자와 외국인 유학생이 상대적으로 많이 재현됐다. 마지막으로 방송 시기에서는 최근으로 올수록 전문인력 이주노동자와 외국인 유학생 재현이 줄고 결혼이민자와 다문화가족 자녀의 재현이 증가하여 이주 유형별 재현 빈도의 변화가 있었으나, 백인이 유색인보다 많이 재현되는 인종별 재현에는 변화가 없었다.    Korean multicultural television programs have been usually studied in terms of individual program analysis. This study aims to expand the scope of multicultural program research by analyzing the programs quantitatively and comprehensively. For this purpose, a content analysis of Korean multicultural TV programs from 2003 to 2016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epresentation ratio of immigrants and foreigners by race and immigration type, the differences in the degree of representation depending on the genres, and the changes over time. The results show that the representation ratio of white people was higher than that of non-white people. Among the immigration types, migrant workers with a professional work background and international students scored high representation ratio and migrant workers with a low-skilled background had very low representation ratio. Regarding genre, non-white people were represented more than white people in educational programs but there was no difference in entertainment programs. By immigration type, married immigrants and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were more highly represented in educational programs, and migrant workers with a professional work background and international students were more highly represented in entertainment programs. Lastly, there were some changes in the frequency of representation by immigration type over time, such as the decrease in the representation of migrant workers with a professional work background and international students and the increase in the representation of married immigrants and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However, there was no change in the frequency of representation by race and white people continued to be represented more than non-white people.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were discussed based on the results.
지역공동체 구성원들의 공동체미디어 실천에 대한 고찰 | 2018.07.09
광고이론 | 한국언론학회 (한국언론학회)
본 연구는 내용중심적인 측면이나 매체중심적인 논의에서 벗어나, 공동체미디어 실천의 존재론적인 조건인 구체적인/물리적인 삶의 공간 속에 공동체미디어 실천을 포지셔닝 하고, 장기간의 참여관찰과 심층인터뷰를 중심으로 한 현장연구를 통해 공동체미디어 실천을 공동체의 형성이라는 관점에서 다각적으로 고찰해 보고자 시도하였다. 연구 결과, 참여자들은 공동체미디어 실천을 계기로 또는 공동체미디어 실천 과정을 경유하면서 공동체적 감수성을 환기하게 되는 정서적 변화를 경험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연구과정에서 공동체미디어 실천의 범주를 확장시켜 다각도에서 살펴볼 필요가 있음을 파악하게 되었고, 공동체적 삶을 엮어내는 플랫폼으로서 공동체미디어의 가능성/잠재성도 발견할 수 있었다. 공동체미디어 실천은 추상적인 인식 차원으로서의 공동체가 아니라 구체적인 삶의 공간으로서의 공동체와 맞닿아 있다. 즉 공동체미디어의 정체성은 공동체와 공동체미디어의 관계 속에서 참여자들이 만들어내는 생성적 커뮤니케이션 과정의 잠정적 산물이다. 본 논문은 공동체미디어 ‘창신동라디오 <덤>’의 사례를 통해, 공동체미디어 실천 현장의 다이나믹을 포착하여 공동체미디어가 가진 다양한 정체성과 다채로운 스펙트럼을 조망하려는 시도를 한 연구로 의미를 부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ttempts to locate the media practices of community members within the concrete milieu of local community Chngshin-dong, and then to make sense of what the community media practices mean for them in their everyday lives. Drawing upon the thick data collected from a year-and-a half-long participant observation and in-depth interviews in the field, researchers came up with such key findings as follows. First, community residents -who participate in community media production and consumption as well as other community activities and social events- went through changes in terms of emotions/feelings/affect and experience a new sense of community and belonging. Second, the identity of community media seemed to depend on the outcome of formative communication processes between the community and the community media. This study is an attempt to look into the interwoven dynamics in the field of community media production/consumption and articulate them with other communal activities. It maps out the complex contours and spectrum of community media within the specific context of quotidian lives of the community residents.
방송 VOD 지속이용의도에 대한 연구 | 2018.07.09
광고이론 | 한국언론학회 (한국언론학회)
본 연구는 방송 VOD의 이용을 지속하게 만드는 요인들을 찾고 이들의 관련성을 모형으로 제시하여 이를 검증하였다. 정보시스템 지속이용 모델을 기반으로 적합성과 이전 이용을 추가하였고 이들의 관계를 구조방정식모형으로 살펴보았다. 특히, 유료 방송 VOD와 무료 방송 VOD 이용집단 간에 차이가 존재하는지와 이들이 부정적 광고 태도 차이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유용성은 만족에 그리고 이전 이용은 지속이용의도에 영향을 주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료 방송 VOD와 무료 방송 VOD 집단 간에는 유용성이 지속이용의도에, 기대일치가 유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고부정적 광고 태도_유료 방송 VOD, 저부정적 광고 태도_유료 방송 VOD, 고부정적 광고 태도_무료방송 VOD 그리고 저부정적 광고 태도_무료 방송 VOD 집단 간에는 유용성이 지속이용의도에, 기대일치가 유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방송 VOD 지속이용의도를 설명하는데 있어 비용 지불 여부와 부정적 광고 태도 차이에 따라 다르게 접근해야 함을 알려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intention to continue of broadcasting VOD. This study proposed a model to connect compatibility and prior use into IS continuance model. The surveys were examin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Especially, this study analyzed the path difference between paid and free, between paid and free based on the difference in negative attitude toward advertising. The results showed that usefulness had no effect on the satisfaction and prior use had no effect on the continuance usage intention.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paths(usefulness → continuance usage intention, confirmation → usefulness) between paid and free. An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paths(usefulness → continuance usage intention, confirmation → usefulness) among the group(hight negative advertising attitude_paid, low negative advertising attitude_paid, hight negative advertising attitude_free, low negative advertising attitude_free).
뉴미디어 유형이 위험 특성, 위험 인식, 예방 행동 의도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 | 2018.07.09
광고이론 | 한국언론학회 (한국언론학회)
본 연구는 전통미디어에 한정되어 있던 위험 커뮤니케이션 연구를 확장하여 뉴미디어 유형이 위험특성, 위험인식, 행동의도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신종 플루와 콜레스테롤 위험 이슈의 맥락에서 전국 성인 남녀 1381명 대상의 일요인 집단 간 설계로 진행된 온라인 실험 자료를 분석하였다. 조작된 요인은 뉴미디어 유형으로 소셜미디어(페이스북)와 온라인 포털(네이버) 플랫폼이었으며, 실험 참여자들은 한 조건에 무작위 할당되었다. PROCESS MACRO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조건적 과정 모형을 검증한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감정적 위험 특성은 개인적/사회적 위험인식, 예방 행동의도 모두와 정적인 관계가 있었다; (2) 개인적/사회적 위험인식은 모두 예방행동의도와 정적인 관계가 있었다; (3) 소셜 미디어플랫폼을 통해 전달된 콜레스테롤 위험 메시지는 직접적으로, 또한 감정적 위험특성과 상호작용하여, 사회적 위험인식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4) 소셜 미디어플랫폼을 통해 전달된 콜레스테롤 위험 메시지는 개인적 위험인식과 상호작용하여 예방 행동의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친 반면, 온라인 포털을 통해 전달된 콜레스테롤 위험 메시지는 사회적 위험인식과 상호작용하여 예방 행동의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5) 콜레스테롤 이슈에서 개인적 위험인식이 예방행동의도에 미치는 조건적 매개 효과는 소셜 미디어조건에서 더 컸던 반면, 사회적 위험 인식의 조건적 매개 효과는 온라인 포털 조건에서 더 컸다.    This study explores how new media platform affects the relationships among risk characteristics, risk perceptions, and preventive behavioral intentions (PBI). An online experiment was conducted among 1,381 Korean adults nationwide with manipulated news messages on new influenza and cholesterol risk issues that are delivered via Facebook versus Naver portal. A test of conditional process models indicated the following: (1) Emotional, but not cognitive, risk characteristics had positive relationships with personal-/societal- level risk perceptions (PRP/SRP) and PBI; (2) PRP and SRP both had positive relationships with PBI; (3) Cholesterol risk messages on Facebook platform had positive effects on only SRP, directly and by interacting with emotional risk characteristics; (4) Cholesterol risk messages on facebook had positive interaction effects with PRP, while the messages on Naver portal had positive interaction effects with SRP, on PBI; (5) PRP had larger conditional indirect effects than SRP on PBI when cholesterol risk messages were delivered on Facebook, while SRP had larger effects when the messages were on Naver portal.
선전으로서의 도서 번역 | 2018.07.09
광고이론 | 한국언론학회 (한국언론학회)
본 연구는 해방 이후 미군정기 3년 동안에 미국이 한국에서 전개했던 다양한 선전·문화 활동 가운데 특히 도서 번역 활동에 초점을 맞춘다. 따라서 이 연구는 먼저 해당 시기에 미국의 도서번역 활동이 어떤 역사적 맥락에서 어떤 과정으로 전개되었는지 개괄적으로 조명한 후에, 실제로 어떤 성격의 도서들이 어떤 방식으로 번역출간(역간)되었는지 구체적으로 분석할 것이다. 결론에서는, 추가적으로 이러한 도서들의 역간이 한국의 출판계와 독서계, 그리고 한국인들의 의식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논의할 것이다. 자료 분석 결과, 1946년 이후 미국이 한국을 이념적 전쟁터로 간주해 선전?문화 활동을 강화할 무렵부터, 군정청의 일부 부서와 관리들에 의해 도서 번역 활동이 시작되었고, 1947년에 설립된 미국공보원에 의해 미국무성의 도서 번역사업이 본격적으로 시행된 것으로 파악되었다. 미군정기에 미국의 직?간접적인 관여로 역간된 도서는 총 10종을 넘지 못했지만, 그것들은 모두 미국식 자유민주주의를 전파하고 소비에트 공산주의를 비판하는 내용의 도서들이었고, 번역과 출판 뿐 아니라 배급 과정에서도 미국의 집중적인 지원을 받았던 것으로 드러나, 한국 출판계와 독서계의 지형을 바꾸고 한국 국민의 이념적 정향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추정되었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book translation efforts of the U.S. as a part of its propaganda and cultural programs to build up an anti-communist bridgehead during the U.S. military occupation of South Korea for 3 years since August 1945. This study tackles three main questions: first, in what context and in what manner the book translation efforts were performed by the U.S.; second, in what procedure each of those books was translated to be published and what characteristics did each of those books have; finally, what influences did the translated books leave on the minds and thoughts of the Koreans. This study analyzed the documents collected from the U.S. National Archives and Records Administration(NARA) and some major Korean libraries. It was found that the U.S. book translation efforts started in accordance with the reinforcement of the U.S. propaganda and cultural activities in 1946, when Korea came to be regarded by the U.S. leaders as an ideological battleground. At that time, some departments and their officials of the U.S. Military Government in Korea initiated the translation of U.S. books. And the Office of Civil Information(OCI), which was established under the commander of the U.S. Army Forces in Korea in 1947, was also involved in the book translation program of U.S. Department of State. Although the total number of those books translated through the efforts was less than 10, they were evaluated to be pretty effective in influencing the ‘minds and thoughts’ of the Koreans by attacking the Soviet communism and promoting American liberal democracy.
헌혈 요청자의 공신력과 요청방식이 대학생의 헌혈 순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2018.07.09
광고이론 | 한국언론학회 (한국언론학회)
본 연구는 대표적인 순응 기법 중 하나인 DITF를 이용하여 헌혈 순응률 증대를 위한 방안을 모색하였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2(요청자 공신력: 높음/낮음)×4(집단 유형: 단순 DITF 집단, DITF+감성적 프레이밍 집단, DITF+이성적 프레이밍 집단, 통제집단) 실험방안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요청자의 공신력은 주 효과를 발생시키지 않았다. 즉 높은 공신력 집단과 낮은 공신력 집단 간에 목표요청 순응 정도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DITF+감성적 프레이밍 집단과 DITF+이성적 프레이밍 집단은 모두 통제집단보다 높은 순응률을 보였지만, 서로 간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요청자의 공신력과 결합된 DITF+이성적 프레이밍 집단이 DITF+감성적 프레이밍 집단보다 더 높은 순응률을 보일 것으로 기대했지만 결과는 그렇지 못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결과가 나온 이유에 대한 논리적 분석,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를 위한 제언 등이 제시되었다.    This study was schemed to increase the rate of blood donation among college students applying door-in-the-face tactics which is one of the most representative compliance skills. For accomplishing the object of research, this paper adopted 2(credibility of requester)×4(style of groups) factorial design. The results showed that main effect of requester"s credibility was not produced. In other words,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high and low credibility groups in terms of compliance rate. Both higher credibility of requester and DITF+rational framing group was expected to be more effective than both higher credibility of requester and DITF+ emotional framing one. But no difference was revealed between them. Both DITF+rational framing group and DITF+emotional framing one revealed higher compliance rates than control group, but no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wo labeling experimental groups. The alternative explanation for this result, limitation of research and suggestion for future research were presented.
알코올 사용장애 관련 뉴스에서 나타난 원인 책임과 해결 책임 유형이 편견과 차별에 미치는 영향 | 2018.07.09
광고이론 | 한국언론학회 (한국언론학회)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심각한 정신건강 문제인 알코올 사용장애에 대한 편견과 차별이 환자의 개인적 책임과 관련이 있다는 문제의식을 가지고, 알코올 사용장애의 원인 책임과 해결책임 판단이 환자에 대한 편견과 차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알코올 사용장애와 관련한 뉴스 기사를 원인 책임(유: 통제 가능한 원인 vs. 무: 통제 불가능한 원인)과 해결 책임(유: 치료 수용 vs. 무: 치료 거부)에 따라 네 가지 조건으로 다르게 조작하고, 총 445명의 성인 실험 참가자를 각 조건에 무작위로 할당하여 온라인 실험을 진행하였다. 이원분산분석 결과, 환자가 알코올 사용장애 원인에 책임이 없는 조건에서 책임이 있는 조건보다 더 높은 동정심이 유발되었다. 반대로 환자가 알코올 사용장애를 극복(해결)하기 위해 노력하지 않은 조건에서 노력한 조건보다 분노와 두려움이 높아지고 도움 의도는 감소하였다. 마지막으로 환자가 원인에 책임이 있는 경우에는 환자의 해결 노력이 없는 조건에서 해결노력이 있는 조건보다 차별 의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환자가 원인에 책임이 없는 경우에는 해결 노력 유무에 따라 차별 의도가 달라지지 않았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알코올 사용장애에 대한 편견과 차별의 해소 방안을 논의하였다. 본 연구는 중요도에 비해 상대적으로 주목받지 못한 정신건강 문제인 알코올 사용장애 및 이와 관련한 낙인을 다뤘다는 점과 더불어 알코올 사용장애의 편견과 차별에 대한 해소 방안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이론적?실무적 함의를 가진다.    This study investigated how judgments of responsibility affect prejudice and discrimination of alcohol use disorder by drawing a distinction between onset responsibility (for the cause of the problem) and offset responsibility (for the solution of the problem). In an online experiment, 445 adult participants read one of the four news stories regarding the behavior at the onset (controllable cause vs. uncontrollable cause) and offset (treated vs. untreated) of the target person with alcohol use disorder. Two-way ANOVA indicated that, while the target person who was not responsible for the cause of his/her problem evoked more pity, the target who made no efforts to solve his/her problem generated more anger, fear, and less helping intention. The target led to the highest discrimination intention when s/he was responsible for his/her problem but s/he did not make efforts to solve it. The findings provide implications for anti-stigma strategies to reduce prejudice and discrimination toward those with alcohol use disorder.
자료 제공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