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상황 속 대학에서의 사회적 고립감과 의사사회적 상호작용의 역할 연구
한국언론학회 | 한국언론학회 | 36 pages| 2021.05.13| 파일형태 :
조회 1954 다운로드 0
자료요약
코로나19 상황 속에서 대학은 캠퍼스 폐쇄나 온라인 학습으로의 전환과 같은 유례없는 변화를 맞이하였다. 코로나19 사태 장기화로 사회적 고립감의 발생 가능성을 예상할 수 있으나, 사회적 고립감의 부정적인 영향력을 구체적으로 분석한 연구는 찾아보기 어려웠다. 본 연구는 코로나19 상황 속 대학에서 경험하는 사회적 고립감이 대학생과 대학원생에게 발휘하는 부정적인 영향력을 살펴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특히 코로나19 상황 속 대학에서 경험하는 사회적 고립감이 학업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학과소속감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고, 온라인 학습을 통해 형성된 교수자를 향한 의사사회적 상호작용과 학과소속감의 관계를 논의하였다. 연구문제와 가설을 분석하기 위해 국내의 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온라인 설문조사를 진행하였으며, 120명의 답변을 분석에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코로나19 상황 속
대학에서 경험하는 사회적 고립감은 학과소속감과 학업지속의도에 부적(-) 영향력을 발휘하였다. 사회적 고립감이 학업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학과소속감은 매개 효과를 발휘하였는데, 학과소속감의 영향력을 통제하였을 때 사회적 고립감의 직접효과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코로나19 상황 속 대학에서 경험하는 사회적고립감은 학과소속감을 통해 학업지속의도에 부정적인 영향력을 발휘할 가능성을 시사한다. 반면, 온라인 학습을 통해 형성된 교수자를 향한 의사사회적 상호작용은 대학(원)생의 학과소속감에 정적(+) 영향력을 발휘하였다. 사회적고립감과 의사사회적 상호작용 간의 상관관계는 유의미하지 않았으므로, 두 변인은 학과소속감에 독립적으로 영향력을 발휘하는 선행변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코로나19 상황 속 대학에서 경험하는 사회적 고립감의 부정적인 영향력을 구체적으
로 논의하였으며, 온라인 학습을 통해 형성된 교수자를 향한 의사사회적 상호작용은 대학(원)생의 학과소속감을 높이는 또 다른 방안이 될 수 있음을 논의하였다.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결론
코로나19 사회적 고립감 의사사회적 상호작용 학과소속감 학업지속의도
저작권 안내 및 사용범위와 규정
  •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 배포는 법적으로 "금지되어" 있습니다.
  • 저작권 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하단의 “고객센터”를 이용해주세요.
  • 기타는 저작물의 등록자가 정하는 사용 범위와 규정에 준합니다.
  • 위 자료는 한국언론학회 가 저작권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자료 제공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