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풍 재난 보도 프레임과 구체적 감정의 차별적 영향 : 유발된 슬픔과 분노의 매개효과 중심
한국언론학회 | 한국언론학회 | 36 pages| 2019.07.09| 파일형태 :
조회 1143 다운로드 0
자료요약
본 연구는 태풍 재난 보도 프레임(일화중심 vs 사실중심)에 따라 구체적인 부정적 감정(공포/걱정/슬픔/분노)과 위험인식이 차별적으로 나타나는지 살펴보았다. 그리고 보도 프레임이 행동의도(예방/회피)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부정적 감정이 매개효과를 보이는지, 이와 더불어 위험 관련 행동에 대한 프레임의 영향력을 위험인식이 매개하는지도 살펴보았다. 그리고 문화적 세계관(위계주의자/개인주의자/평등주의자/운명주의자)이 부정적 감정과 위험인식의 매개효과를 조절하는지 알아보았다. 실험참여자(N=320)를 두 집단으로 나눈 후 각각 일화중심재난 보도프레임과 사실중심 재난 보도프레임을 보게 한 후 설문에 응답하게 했다. 분석결과, 사실중심 프레임 집단보다 일화중심 프레임 집단에서 슬픔, 분노, 위험인식의 발생이 유의미하게 높았다. 보도 프레임은 슬픔을 매개로 예방행동의도에 간접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분노를 매개로 회피행동의도에 간접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위험인식을 매개로 예방행동의도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네 개의 문화적 세계관 중 개인주의자가 슬픔의 매개효과를 조절하였다. 본 연구는 프레임이 위험 관련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슬픔, 분노 등 구체적 감정의 차별적 영향력을 검증했으며, 이를 통해 재난 뉴스의 프레이밍 효과를 사람들의 인지적 차원뿐만 아니라 감정적 반응으로 확대했다는 점에서 의미를 지닌다. 이와 더불어 문화적 세계관이 재난 뉴스 프레이밍 효과 과정에서 조절변수로써 역할을 한다는 것을 검증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The study investigates the different impacts of the typhoon disaster report frame (episodic focus vs fact focus) on discrete negative emotions(fear/worry/sadness/anger) and risk perception. Also the mediating effects of negative emotions and risk perception were examined in the process of reveal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ypes of typhoon disaster reporting and behavioral intentions, and whether the mediating effects of negative emotions and risk perception are controlled by cultural worldviews (hierarchist/individualist/egalitarian/fatalist). Participants in the experiment (N=320)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s a results, the occurrence of sadness, anger, and risk perception in the episodic frame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fact frame group. The reporting frame had a positive effect indirectly on the preventive behavioral intention through the sadness, and had a positive influence indirectly on the avoidance behavioral intention through anger. In addition, the reporting frame indirectly influenced the precautionary intention through risk perception. Individualist in the four cultural worldviews moderated the mediating effect of sadness. This study examined the differential effects of discrete emotions, such as sadness and anger, in the process of framing affecting risk behavioral intentions. This means that the framing effect of disaster news is extended to the emotional response as well as the cognitive dimension of the people. In addition, it is meaningful to prove that the cultural worldview acts as a moderating variable in the process of the framing effect of disaster news.


목차
1. 문제제기
2. 이론적 배경
3. 연구방법론
4. 분석결과
5. 결론 및 논의
#프레이밍 효과 #감정적 반응 #슬픔 #분노 #위험인식 #framing effect #emotional response #sadness #anger #risk perception
저작권 안내 및 사용범위와 규정
  •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 배포는 법적으로 "금지되어" 있습니다.
  • 저작권 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하단의 “고객센터”를 이용해주세요.
  • 기타는 저작물의 등록자가 정하는 사용 범위와 규정에 준합니다.
  • 위 자료는 한국언론학회 가 저작권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자료 제공처